金국방 “천안함 재질과 다른 알루미늄 파편 수거”

입력 2010-05-01 00:29

김태영 국방부 장관은 30일 천안함 침몰 현장에서 수거한 금속 파편과 관련해 “알루미늄 성분인데 우리(천안함) 것과 좀 다르지 않은가 판단한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 사고 현장에서 수거한 채증물 분석 결과를 묻는 한나라당 유승민 의원의 질문에 “금속 성분인데 뭔가 특이하다. 함정의 재질과 좀 다르다고 본다”면서 “(천안함을) 공격한 것이라면 공격한 물체와 관련된 것인지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어뢰의 경우도 몸통이 알루미늄 합금으로 돼 있어 정밀한 확인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 장관은 현장에서 수거한 금속성분 4건과 플라스틱 1건의 채증물에 대해 “3㎜ 정도 되는 조그마한 파편부터 4~5㎝인 것도 있다”며 “함정 내에 있는 재질과 같은 경우 금방 확인되고 그 외 확인이 안 되는 것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천안함의 선체 상부도 알루미늄 재질로 돼 있지만, 확보한 파편이 선체 상부와는 다른 소재의 알루미늄이라는 것이다.

군은 이달 중순쯤 천안함 침몰 중간조사 결과 발표를 목표로 ‘스모킹 건’(smoking gun, 결정적인 증거) 수집 및 분석에 박차를 가해 왔다.

김 장관은 또 침몰 원인 조사에 대해 “어떤 일이 있어도 물증을 찾아 규명할 일이다. 대통령 생각도 같다”고 말했다. 그는 조사 과정에 중국과 러시아가 참여하는 문제와 관련, “앞으로 기밀 노출 없이 단순한 사건 규명으로만 (조사활동이) 제한될 경우 그때는 중국과 러시아와도 협조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북 무력시위와 관련해서도 핵 폭격기의 발진이나 배치 등에 대해 “좋은 무력시위 방법으로 필요시 무력시위를 할 제공 전력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정운찬 국무총리 주재로 천안함 관련 관계장관대책회의를 열어 이달 중순까지 특별한 공적 기준을 구체화해 훈격을 상향 조정할 수 있도록 서훈제도를 개선키로 했다. 전투 참가 외에 무공 훈장을 수여할 수 있는 다른 요건도 추가해 오는 9월 정기국회까지 상훈법을 개정하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

천안함 실종자 수색 도중 침몰한 98금양호 선원들에게도 서훈 등을 포함해 포상키로 하고 이달 초 신속히 처리할 계획이다.

감사원은 천안함 침몰 사건 대응 실태 감사를 3일부터 17일간 신속하고 강도 높게 진행키로 했다.

손병호 안의근 기자 pr4p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