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회 천안함 특위 초당적 협력을

입력 2010-04-29 17:52

그토록 사랑했던 바다를 뒤로 하고 하늘로 간 ‘천안함 46용사’를 가슴에 묻으며 온 국민은 다시는 이 같은 비극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해 달라고 간절히 기원하고 또 기원했을 것이다. 그러나 마냥 슬퍼하고 있을 수만은 없다. 천안함 용사들의 희생을 헛되지 않게 하는 과제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김성찬 해군참모총장은 어제 영결식 조사에서 “우리는 결코 (3월 26일 백령도에서 일어난 일을) 용서할 수 없으며 용서해서도 안 되며, 잊어서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들에게 큰 고통을 준 세력들이 그 누구든지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다. 끝까지 찾아내어 더 큰 대가를 반드시 치르게 할 것”이라고 영령들에게 다짐했다. 기필코 그렇게 해야 한다. 그것이 남은 우리들이 해야 할 천안함 희생자들에 대한 당연한 도리다.

조만간 활동에 들어갈 국회 천안함 침몰사건 진상조사특위의 지향점도 여기에 맞춰져야 함은 물론이다. 여야 10명씩 의원 20명으로 구성되는 특위는 사고 원인 규명과 군의 위기대응 능력 향상 방안 마련에 중점을 두고 6월 27일까지 두 달간 활동(여야 합의에 따라 한 달 연장 가능)할 예정이다.

하지만 여야는 특위 구성에 관한 지엽적 문제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야당 몫 중 비교섭단체에 할당된 2명의 배분 방식을 놓고 당략을 앞세우는 모습은 한심하다 못해 절망스럽다. 한나라당은 의석수에 따라 자유선진당과 미래희망연대에 배분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민주당은 한나라당과 합당 예정인 미래희망연대에 주는 것은 여당 몫을 늘리는 거라며 맞서고 있다. 국가안보와 직결된 중차대한 사안을 앞에 두고 이런 추태나 보여주려고 특위를 만들었는가.

진실을 밝히지 못하면 우리가 다짐한 단호하고 결연한 조치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안타까운 죽음의 원인을 밝히고, 그 바탕 위에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대가를 치르게 하는 것이 46용사들의 희생에 보답하는 길이다. 부디 이번만큼은 정략적 이해관계를 떠나 대승적이고, 초당적인 협력을 통해 진실에 접근해주기를 간곡히 호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