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천안함 사고원인 조사결과 중·러에 공식 설명키로

입력 2010-04-26 18:40

정부는 천안함 침몰 사고 원인에 대한 조사결과가 나오는 대로 6자회담 당사국인 중국과 러시아, 일본에 공식 설명하고 향후 대응과정에서 협조를 요청할 것으로 26일 알려졌다. 6자회담 당사국 중 미국은 직접 조사단을 파견, 우리 정부와 합동조사를 진행 중이기 때문에 별도의 설명과정은 생략키로 했다. 중국과 러시아, 일본은 별도의 조사단이나 참관인을 보내지 않은 상태다.

정부 고위소식통은 “군사기밀 유출 우려 등으로 중국과 러시아 등이 천안함 사고원인 조사과정에 참여하기는 어려워 보인다”면서 “정부로서는 조사가 끝나면 이번 조사에 참여하지 않은 6자회담 관련국들에게 결과를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천안함 사고가 북한 소행으로 드러날 경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회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를 위해서는 안보리 상임이사국(P5)인 중국과 러시아의 협조가 절대적이다. 정부가 중·러·일에 조사 결과를 설명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다른 소식통은 한·미 양국이 중국에 특별참관단을 보내도록 요청할 가능성이 있다는 일부 관측에 대해 “고려해볼 수는 있지만 현 시점에서 중국이 조사과정에 관여할 가능성이 높지 않다”면서 “정부가 추후 조사결과를 중국 측에 설명하는 방식이 가장 유력해 보인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에 따라 천안함 사고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결정적 물증확보에 더욱 주력하고 있다. 북한의 개입 여부 등 조사 결과에 따라 한반도 정세가 크게 요동칠 것이 불 보듯 뻔하기 때문에 객관적 증거를 제시하며 중·러·일의 이해와 협조를 구한다는 전략이다.

함체인양 완료로 사고원인 규명작업이 본격화됨에 따라 외교·국방·통일 등 외교·안보부처의 향후 대응방안 검토 작업도 속도를 내고 있다.

위성락 한반도 평화교섭본부장을 반장으로 하는 외교통상부 천안함 사고 대책반은 수차례 회의를 거쳐 가상의 대응 시나리오에 대비한 연구작업을 마무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가능한 경우의 수에 대한 검토작업이 거의 정리된 상태”면서 “상황에 따라 취사선택이 가능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