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채권단 의견 대립 금호타이어 정상화 험난
입력 2010-04-23 18:31
금호타이어 정상화 계획이 채권단의 갈등으로 또다시 중대 고비를 맞게 됐다.
23일 은행권에 따르면 22일 금호타이어 노사가 채권단이 제시한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플랜에 합의함으로써 한차례 고비를 넘겼으나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에 대한 금호타이어 경영권 보장을 놓고 산업은행과 우리은행이 팽팽히 맞서 회사 경영정상화에 차질을 빚고 있다.
금호타이어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박 회장과 합의했던 회사 경영권 보장·대주주 우선매수청구권을 워크아웃 플랜에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이나 우리은행은 법적인 근거가 없다며 반대하고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산업은행이 박삼구 회장과 합의했던 3+2년간 경영권 보장, 대주주 우선매수청구권은 워크아웃 플랜에 반영할 사안이 아니다”면서 “최악의 경우 워크아웃 합의 자체가 무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우리은행은 지난 13일 금호산업과 경영정상화 이행약정(MOU)을 체결할 당시에도 박 회장에 대한 우선매수청구권을 반영하지 않았다.
신규 자금지원과 출자전환 규모에 대해서도 양 채권기관이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산업은행은 신규자금 6000억원과 채권단 출자전환 3800억원 등 모두 1조원 규모의 재무구조 개선안을 제시했으나 우리은행은 신규지원액을 4000억원으로 축소해야한다는 입장이다.
현재 산업은행과 우리은행은 금호타이어 채권신고액 기준 각각 50%와 30%의 의결권을 보유하고 있다. 워크아웃 플랜이 통과되려면 채권단 75%의 동의를 얻어야 하기 때문에 우리은행이 반대하면 안건은 부결된다.
산업은행은 이날 워크아웃 플랜을 채권금융기관 협의회 안건으로 부의해 30일까지 서면동의를 받는다는 방침이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대주주의 경영 협조를 얻어내기 위해서는 패자부활전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을 보장해야 한다”며 “과거 구조조정 사례에서도 명백한 부정부패가 없는 경영진은 대부분 유임시켰다”고 말했다.
황일송 기자 il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