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전직 대통령 초청 첫 오찬 “北소행땐 비상한 결단을”

입력 2010-04-23 22:05


이명박 대통령이 23일 청와대에서 전두환, 김영삼 두 전직 대통령과 점심을 같이했다. 천안함 침몰사고와 관련해 전직 대통령들의 지혜를 구하는 자리였다.

두 전직 대통령은 자신들의 경험담을 주로 얘기했다. 전 전 대통령은 1983년 버마(현 미얀마) 아웅산 테러사건과 87년 KAL기 폭파사건을, 김 전 대통령은 96년 강릉 잠수함 침투사건 등을 회고했다. 전 전 대통령은 “미얀마에서 당했을 때 김정일이 했다. 김일성은 지시하지 않았다”며 “그때 김격식 대장이 총책임자였는데, 총참모장을 하다가 지난해 2월 4군단장으로 왔고, 그 4군단 관할이 이 (천안함 침몰) 지역”이라고 말했다. 이어 “북한은 과거에도 한편으로는 남북정상회담을 하자고 협상하면서 뒤로는 아웅산 테러, KAL기 폭파 등 양면전술을 구사해 왔다”고 덧붙였다.

김 전 대통령도 잠수함 침투사건을 언급하며 “당시 강경하게 항의해 북한이 결국 사과했다”며 “이번에도 북한 소행으로 확인될 경우 단호한 대응을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 전 대통령은 “내가 볼 때 (사고 원인은) 100% 북한 어뢰”라고 말했고, 전 전 대통령은 “내 경험에 비춰볼 때 북한 소행임이 분명하다”고 주장했다. 이 대통령도 “현대 재직 때 KAL기가 떨어져 많은 현대 식구들이 죽었다. 가슴이 아팠다”고 말했다.

김 전 대통령은 “지난 10년간 주적 개념조차 없어지는 등 정체성의 혼란을 겪었다. 반드시 국방백서에 주적 개념을 넣어야 한다”고 주장했고, 전 전 대통령도 공감을 표시했다.

이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 원칙도 재차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그동안 직·간접적으로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타진이 있었다. 그러나 나는 만남을 위한 만남, 정치적 의도를 깔고 하는 만남은 하지 않겠다고 했다. 임기 중 한번도 안 만나도 된다는 입장을 지켜왔다”고 말했다.

두 전직 대통령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대해 “반드시 연기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한편, 천안함 침몰사고 대응과 관련해서는 “전략적으로 중국의 협조를 얻도록 외교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명박 정부 들어 처음으로 열린 전·현직 대통령 오찬은 배석자 없이 2시간 정도 진행됐다. 이 대통령은 두 전직 대통령을 직접 청와대 본관 현관에서 마중하고 배웅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