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앞두고 단체장 비리 기승… 불법 수의계약·뇌물 받고 편법 인사 2명은 이미 재공천

입력 2010-04-22 21:41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방자치단체장 등의 토착비리가 무더기로 적발됐다. 혐의가 포착된 일부 지자체장은 이번 지방선거 출마를 준비 중이어서 선거 분위기를 흐리고 있다. 지자체장의 비리 근절을 위해선 유권자들의 현명한 후보 선택과 각 정당의 공천 방식 개선, 정부·시민단체 등의 감시기능 강화가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감사원은 22일 지역 토착비리 감찰 결과 지자체장 4명과 지방공기업 사장 1명 등 비리 혐의자 32명을 수뢰·뇌물공여 등 혐의로 검찰에 수사를 의뢰하거나 수사 참고자료로 통보했다고 밝혔다.

감사원 관계자는 “이번에 적발된 4명의 지자체장과 1명의 지방공기업 사장 중 이미 다른 혐의로 법정 구속된 시장 1명을 제외한 4명 모두 이번 지방선거와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지자체장 2명은 정당 공천이 확정됐고, 지방공기업 사장과 다른 지자체장 2명은 공천을 신청한 상태로 알려졌다.

깨끗한 공천을 강조했던 여야도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했다. 각 정당의 공천 심사 방식도 도마에 올랐다.

그러나 감사원은 토착비리에 대한 조사를 계속할 경우 지방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 비리 개연성이 포착된 다른 지자체에 대해서는 선거가 끝난 뒤 2단계 감찰 활동에 착수할 방침이다.

감사원은 충남 당진군수가 관내 건설업체 두 곳에 특혜를 제공하고 별장과 아파트를 뇌물로 받았다고 밝혔다. 또 경북 영양군수는 자신이 대주주로 있는 건설회사에 불법 수의계약으로 공사를 발주했다. 경기 군포시장은 지역 유력 인사로부터 인사 청탁을 받은 6급 공무원을 편법을 동원해 승진시킨 것이 밝혀졌다.

지방공기업인 경북 문경레저타운 사장은 회사가 관리하는 공공 골프장에서 사행성 이벤트를 실시하고 2000만원 상당의 도자기를 받았다.

감사원은 이들 3명의 지자체장과 1명의 지방공기업 사장에 대해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감사원은 이어 전기공사 사업자 선정 시 직간접적으로 개입한 정황이 포착된 전북 모 시장의 혐의 내용에 대해 검찰에 수사 참고자료로 통보했다.

앞서 지난 16일에는 한나라당 소속 이기수 여주군수가 이범관 의원에게 현금 2억원을 전달하려다 붙잡힌데 이어 공천이 확정된 민주당 소속 김충식 해남군수는 제보를 받고 출동한 경찰청 특수수사과의 김 군수 자택 압수수색에서 1억9000만원에 달하는 돈다발이 무더기로 발견돼 22일 구속됐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