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남해안시대 프로젝트’ 본격화
입력 2010-04-22 20:52
정부가 21일 경남·부산·전남이 상생 발전하는 ‘남해안권발전 종합계획’을 확정 발표함에 따라 경남도가의 ‘남해안시대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닻을 올리게 됐다.
남해안권을 동북아 5대 경제권으로 국제교류, 신산업, 관광의 중심지대로 만들어 해양중심의 개방적 국가발전을 선도한다는 이번 계획은 경남·부산·전남 해안선에 연접한 35개 시·군과 인접 내륙지역, 인근 도서를 포함해 총 1만2753㎢에 사업이 진행되는 대형 프로젝트다. 대상 면적은 전국의 12·8%에 이르고, 관련 인구는 10·4%인 514만3000명이다.
남해안 개발사업을 위해 앞으로 10년간 민간자본을 포함해 총 24조3000억원의 사업비가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른 생산 유발효과는 약 48조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20조원, 일자리 22만개가 창출될 것으로 경남도와 정부는 예상하고 있다.
경남도는 4대 추진 전략으로 세계적 해양 관광·휴양지대 조성, 글로벌 경제물류 거점 육성, 통합인프라 및 초국경 네트워크 구축, 동서통합 및 지역발전 거점 육성 등 4개 전략을 제시했다.
이번 종합계획은 지자체가 입법을 주도한 최초 사례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동·서·남해안권 발전특별법’이 제정된 이후 3개 시·도가 지역 특성을 반영, 자율적으로 입안하고 중앙부처에서 최종 결정하는 상향식 계획이다.
남해안 프로젝트 출범을 바라보는 김태호 경남지사의 감회는 남다르다. 이 프로젝트는 김 지사가 2005년 처음 주창했고 오랜 준비 끝에 지난해 9월 경남·부산·전남과 공동계획 입안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그는 “남해안아 갖고 있는 리아스식 해안과 수천개의 섬은 지구상 어디에도 없으며, 주변에 중국과 일본이라는 거대한 시장을 갖고 있다”며 “대한민국을 토끼가 아닌 호랑이로 키우고 세계시장에서 경쟁하고 싶었다”고 프로젝트를 주창했던 배경을 설명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