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목포 ‘2시간 생활권’ 만든다… ‘남해안 선벨트’ 계획 수립
입력 2010-04-21 21:37
부산∼목포가 2시간 생활권으로 개발되고, 남해안 지역은 동북아 물류·관광 중심지로 조성된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24조3000억원이 투입된다. 또 지방 이전 기업에 대한 예산 지원 규모가 대폭 늘어나고 입지 및 금융 등 각종 지원 체계도 강화된다.
국토해양부와 지식경제부는 21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7차 지역발전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지역 발전 방안을 보고했다. 국토부는 남해안 선벨트 종합계획에 따라 이 지역에 세계적 수준의 해양 관광·휴양 지대를 조성키로 하고 거점별, 테마별로 관광 및 휴양클러스터를 구축키로 했다.
거점별 계획을 보면 한려수도권은 체류형 관광지대로, 다도해권은 섬과 해양레포츠 등을 활용한 판타지 아일랜드로 조성할 예정이다. 테마별로는 이순신 장군 등의 역사자원을 활용한 해상영웅벨트, 남도문화 탐방 벨트를 조성한다.
글로벌 경제·물류 거점 육성을 위해서는 수리조선(부산), 기자재·해양플랜트(고성·통영), 중소형 조선(신안), 엔진·부품(영암) 거점단지를 연계하는 조선 산업 클러스터를 육성한다.
국토부는 이러한 계획에 발맞춰 동·서 간 교통인프라를 구축해 남해안권으로의 접근성을 높이기로 했다. 우선 남해안의 해안선과 섬을 잇는 77번 국도를 확충해 목포∼부산을 2시간대 생활권으로 단축시키고, 다도해·한려수도권에 연륙교 및 연도교 설치도 추진한다. 남해안 일주철도를 고속화하기 위해서는 기존 경전선 등을 확충해 단계적으로 복선 전철화하기로 했다.
지식경제부는 또 ‘지역경제 주요 현안 및 대책’ 보고를 통해 올해 1106억원 규모인 기업 이전 및 고용보조금 예산을 내년에는 2000억원 가까이 늘리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이와 함께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이전하는 기업과 지방소재 기업의 신규 투자에 한정했던 보조금 제도를 본사가 수도권에 있더라도 지방에 공장을 신설하는 기업까지 확대키로 했다.
권역별 선도 산업에 대한 외국인 투자에는 현금지원과 임대료 감면 등을 제공하고 국내 기업에는 기업이전 및 고용보조금을 우선 지급한다.
한편 올해 안에 전국 10개 혁신도시에서 모두 30여개의 이전 공공기관 청사가 착공에 들어간다. 국토부는 5월 중 제주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국토해양인재개발원 청사가 착공에 들어가고 올해 안에 착공하지 못하는 나머지 이전 기관들도 부지 매입 및 청사 설계를 올해 말까지 완료해 내년 초에는 착공에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