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환 “北 소행땐 6자회담 난망”
입력 2010-04-20 22:38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20일 천안함 침몰 사건이 북핵 6자회담 재개에 미칠 영향과 관련, “북한의 연루 사실이 확인될 경우 당분간 6자회담이 열리기 어렵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 장관은 이날 내외신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의 행동에 책임을 물어야 하기 때문에 6자 간에 비핵화 문제를 논의하는 분위기가 조성되기는 어렵다”면서 “현재는 천안함 사건에 우선순위가 있으며 6자회담은 그 다음에 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 장관은 또 천안함 사건에 대한 정부의 대응 방침과 관련해 “구체적 옵션을 언급하기보다는 모든 옵션을 열어놓고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 장관은 ‘북한 소행으로 밝혀질 경우 무력 공격이나 자위권 행사 요건이 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외교부 입장에서는 외교적인 조치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있고, 그에 따른 관계부처 의견 조율을 통해 일관되고 침착하면서 단호한 조치를 하게 될 것”이라고 답했다.
이와 관련, 정부 고위 당국자는 “1996년 강릉 잠수함 침투 사건 때 사람이 많이 죽고 상황이 심각했으며 당시 미국이 전투기를 동원해 군사적 시위를 한 것으로 기억한다”면서 “만약 북한이 우리 군함을 공격했다면 상황이 강릉 잠수함 침투 사건 때보다 훨씬 심각하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이어 “미리 상황을 예단하는 것은 맞지 않으며 모든 옵션을 테이블 위에 올려놓아야 외교적 조치가 힘을 받는다”고 강조했다.
유 장관은 북한 소행으로 판명날 경우 외교적으로 검토 가능한 옵션에 대해 “필요할 경우 언제라도 유엔 안보리에 가져간다는 게 원칙”이라며 안보리 회부 가능성을 시사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