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9부 능선서 백지화된 ‘야권 연대’
입력 2010-04-20 22:36
6·2지방선거가 4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여야가 막바지 공천 과정에서 진통을 겪고 있다. 한나라당은 억대 공천헌금 미수 사건에 이어 일부 지역에서 이른바 ‘사천(私薦)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민주당은 내부 반발을 무릅쓰고 추진한 야권연대 협상이 국민참여당과의 이견으로 결렬 위기를 맞고 있다.
야권의 지방선거 연대협상이 20일 ‘9부 능선’을 넘지 못하고 일단 결렬됐다. 진보신당을 제외한 야4당과 시민단체 4곳은 이날 마지막 담판에 나섰지만 경기지사 후보 단일화 방식을 둘러싼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이견의 핵심은 지난 16일 야4당과 시민단체 대표들이 ‘여론조사 50%+도민참여경선 50%’ 방식으로 치르기로 합의한 경기지사 후보 경선방식의 수용 여부였다. 국민참여당은 며칠 전부터 도민참여인단에 시민사회 추천 인사를 20% 정도 우선 배정해야 한다는 내용 등을 담은 수정안을 제안했다. 여론조사로는 김진표 민주당 후보와의 격차를 크게 벌릴 수 없는 데다 조직력이 우세한 김 후보에게 도민참여경선에서 현격하게 밀릴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었다. 하지만 민주당은 “16일 합의한 원안을 참여당이 수용해야 한다”며 반발했다.
협상 결렬의 책임을 놓고 양당의 날선 공방도 이어졌다. 김민석 민주당 최고위원은 “민주당이 수도권과 호남의 공천권까지 양보했음에도 불구하고 참여당에 의해 경기지사 경선룰에 관한 합의가 파기됨으로써 협상 결렬에 이르렀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유시민 후보가 시민사회에 (협상을) 위임하고 시민사회와 민주당 간에 합의된 모든 룰을 받겠다고 해놓고선 막상 합의문이 나오자 말을 바꿨다”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참여당 천호선 최고위원은 “16일 안은 합의안이 아니라 가합의안이었다”며 “참여당에 상당히 불리한 ‘여론조사 50%+도민선거인단 50%’ 방식을 수용하면서 동원경선을 막을 수 있는 최소한의 견제장치를 촉구했지만 민주당이 이를 거부했다”고 반박했다.
협상이 사실상 결렬됨에 따라 후보 단일화를 성사시켜 최대 격전지이자 승부처인 수도권 ‘빅3’를 탈환하겠다는 야권의 구상 자체도 뿌리째 흔들리게 됐다. 민주당과 참여당은 경기지사 후보인 김진표, 유시민 후보가 각각 출마하는 방안도 불사하겠다며 양보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김 후보는 이날 선거운동에 매진하기 위해 의원직 사퇴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정치권에선 2002년 대선 당시 민주당 노무현, 국민통합21 정몽준 후보 간 단일화 합의 등 과거 사례에 비춰 후보등록일(5월13일) 직전 단일화가 성사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적지 않다.
한장희 강주화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