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보도채널 경쟁력·독립성 위해 민간 소유 바람직”

입력 2010-04-20 22:32


방송학회 ‘경쟁력·공익성 확보 방안’ 세미나

한국방송학회(회장 김현주 광운대 교수)가 주관하고 국민일보가 후원한 ‘새 보도전문채널의 경쟁력과 공익성 확보 방안’ 세미나가 20일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열렸다.

방송 전문가들은 디지털 다매체 시대로 표현되는 미디어 격변기에 새 보도전문채널의 성공 가능성과 국가경제 기여, 시청자 권익 증진 방안 등을 놓고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제1 세션에는 윤석년 광주대 신문방송학과 교수가 ‘보도전문채널의 시청자 권익 증진과 공익성 확보 방안’ 논문을 발표했다. 제2 세션에선 김경환 상지대 언론광고학부 교수와 문성철 한양대 언론정보대학원 교수가 ‘보도전문채널의 콘텐츠 구성과 편성 방안’으로 공동발표를 진행했다.

◇달라지는 방송의 공익성 개념=제1 세션 발제자로 나선 윤 교수는 방송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공익성의 개념이 변하고 있음에 주목했다. 윤 교수는 그 이유로 “방송시장이 경쟁을 전제로 재편되고 있는 상황이고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다양한 플랫폼의 등장으로 방송시장의 변화가 불가피해졌다”고 말했다. 따라서 전파의 희소성에 근거한 기존의 공익적 규제 모델에서 공익성 개념도 시장 중심의 개념으로 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소유 주체 성격을 분명히=윤 교수는 방송이 공익적이기 위해서는 정부나 자본, 외적 압력으로부터 독립적이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윤 교수는 “공익적 가치 가운데 하나인 정치적 독립성과 중립성을 보장받으려면 소유 주체의 성격에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다”면서 “정부출연기관, 정부투자기관 중 공익적 성격을 가진 기관이 많음에도 이들의 소유 지분 참여가 논란의 여지를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제2 세션 발제자인 김 교수와 문 교수도 “기존 보도채널인 YTN이 민영화됐다고 하지만 최대주주(한국전력)가 정부의 영향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에서 신규 보도전문채널은 민간 사업자 가운데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외국 자본의 소유 지분도 명확히 해야 한다면서 외국 자본은 해당 자본이 속한 국가의 이해관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뉴스 수용자의 관심보다는 뉴스 생산자의 이해관계에 충실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윤 교수는 보도채널의 공익성 확보는 소유에 관한 규제 외에도 뉴스 보도의 공정성 구현 정도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우리 언론은 오랫동안 이념적 대립으로 객관적이고 공정한 보도에 있어서 특정 정치세력이나 일부 자본의 직간접적인 압력을 받아왔기 때문”이라는 것. 따라서 보도채널 조직 내에서 이슈에 관한 활발한 논의가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취재 조직을 수평적으로 운영하고, 말단 취재 인력이 뉴스 가치를 결정하는 데 일정한 역할이 가능하도록 ‘뉴스품질평의회’ 같은 제도적 보완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보도채널의 경쟁력과 공익성의 관계는=윤 교수는 뉴스 생산 과정에서 오프라인뿐 아니라 온라인 공간에서 시청자 참여와 공유 개방의 진화 단계를 거친다면 훨씬 정제된 뉴스로 거듭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진정한 의미의 시청자 권익 증진은 이런 메커니즘을 얼마만큼 구축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 여론 형성의 영향력이 몇몇 이해관계 집단이나 엘리트에 의해 좌우되던 것과 달리 이제는 일반 공중의 의견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윤 교수는 다만 시청자 권익 증진과 공익성 확보를 위해 두 가지 전제조건을 제시했다. 우선 시청자의 뉴스 접근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 보도전문채널은 공익 채널로 선정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했다.

또 디지털 시대, 융합 환경 아래 치열한 경쟁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미디어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시청자 권익을 통한 공익성 확보라는 어려운 과제를 수행하기는 쉽지 않다면서 어떤 형태로든 새 방송사업자의 순조로운 시장 진입을 위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정책 당국은 우선적으로 방송 재원을 확보하는 적극적인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동훈 기자 d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