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부패 척결은 시대적 과제 썩은곳 과감히 도려낼 것”

입력 2010-04-19 18:54

정치권은 19일 4·19혁명 50주년을 맞아 민주주의 수호와 계승을 다짐했다. 또 4·19 민주영령들과 천안함 희생자들의 헌신을 기렸다. 그러나 민주주의 계승 방법에 대한 여야의 시각차는 여전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서울 수유동 국립 4·19 민주묘지에서 거행된 제50주년 4·19혁명 기념식에서 “분열을 조장하는 지역주의와 인기에 영합한 포퓰리즘의 정치에 기대는 것은 아닌지 다시 한번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또 “4·19혁명 50주년을 맞아 한국 민주주의의 새로운 50년을 성찰해야 한다”면서 “그러나 오늘날 우리 정치는 좁고 추상화된 이념에 사로잡혀 서민의 절박한 삶과 국가의 어려운 현실을 외면하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본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부정부패 척결은 4·19가 우리 시대에 요구하는 또 하나의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사회에는 아직도 해묵은 권력 비리, 토착 비리, 교육 비리가 뿌리 깊게 남아 있다”면서 “정부는 썩은 곳은 과감히 도려내는 근본적인 제도 개선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다짐했다.

한나라당 정몽준 대표, 안상수 원내대표 등 주요 당직자들은 4·19 묘지를 찾아 헌화·분향했다. 오세훈 서울시장, 원희룡·나경원 의원 등 서울시장 경선주자들도 참배했다. 조해진 대변인은 “천안함 사태는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위해선 또 다른 차원의 헌신과 희생이 요구된다는 냉엄한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민주당 정세균 대표와 이강래 원내대표 등도 4·19 묘지를 찾아 4·19 정신의 계승을 다짐했다. 유력한 서울시장 후보인 한명숙 전 총리와 정계복귀설이 나오는 손학규 전 대표도 참배했다.

정 대표는 “4·19혁명의 물줄기는 이 땅에 평화적이고 수평적인 정권교체를 가능하게 했지만 이제 다시 민주주의가 위기를 맞고 있다”면서 “4·19혁명 정신을 계승하려는 민주세력과 권위주의 체제로 역행하려는 현 정부와의 힘겨운 싸움이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