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기업 매출 줄고 수익성은 소폭 개선

입력 2010-04-15 18:19

지난해 상장기업들의 매출액은 6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지만, 수익성은 약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비율도 낮아졌지만 여전히 100%를 웃돌고 있고 영업이익으로 금융이자도 감당하지 못하는 기업이 늘어났다.



한국은행은 15일 이런 내용의 2009년 상장기업 경영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 대상은 1386개 상장기업과 98개 비상장 주요 기업이다.

이들 기업의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보다 0.1% 감소했다. 매출액이 줄어든 것은 2003년 -0.4% 이후 처음이다. 업종별 매출액은 운수업(-19.9%), 금속제품(-14.2%), 석유·화학(-11.2%)의 감소 폭이 컸고 비금속광물(15.8%), 조선(10.9%), 식음료·담배(9.2%), 섬유·의복(6.0%) 등은 늘어났다.

한은 김경학 기업통계팀장은 “지난해 매출 부진은 2008년 매출액이 21.5% 급증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며 “국제 금융위기와 경기 부진의 여파도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5.8%로 전년보다 0.1% 포인트 상승했다. 1000원어치를 팔아 58원을 벌었다는 의미다. 매출액 세전 순이익률은 전년보다 2.7% 포인트 증가한 5.7%를 기록, 1000원어치를 판매해 실제 손에 쥔 돈은 57원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매출액 영업이익률과 세전 순이익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인 2007년 6.7%와 7.6%에는 미치지 못했다.

매출액 감소 폭은 대기업(-0.1%)보다 중소기업(-0.2%)이 컸다. 수출기업은 매출액이 1.0% 증가했지만 내수기업은 1.2% 감소했다. 매출액 영업이익률 역시 수출기업(5.9%)이 내수기업(5.8%)보다 좋았다.

기업이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부담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이자보상비율은 377.7%로 1년 사이에 76.3% 포인트 급락했다.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도 감당 못하는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인 업체의 비중은 32.3%로 1.4% 포인트 커졌다. 매출액 대비 이자 비용 규모를 보여주는 금융비용 부담률은 1.6%로 2003년 2.3% 이후 가장 높았다. 이는 기업들의 차입금과 회사채 발행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배병우 기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