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혼란만 키운 대교협 회장 발언
입력 2010-04-14 17:52
대학들을 대표하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신임 회장이, 그것도 취임식 날 그런 발언을 했다는 게 믿기지 않는다. 사회적 중론을 모아 정리된 대학입시 기준을 완전히 깔아뭉개는 듯한 말을 했으니 입시생과 학부모들은 어쩌란 말인가.
이기수 대교협 신임 회장은 13일 기자간담회에서 “대학이 입학사정관 전형 공통기준을 어기더라도 가급적 불이익을 주지 않겠다”고 말했다. 어겨도 불이익 없는 기준은 있으나마나한 셈이니 결국 공통기준을 무력화하겠다는 것이다. 대교협은 지난 7일 공통기준을 발표하면서 어기는 대학을 제재할 것이라고 했었는데 며칠 사이에 이렇게 오락가락하니 고교들은 입시지도를 어떻게 해야 할지 난감하게 됐다. 논란이 일자 대교협이 내놓은 해명자료가 더 가관이다. “자율 규제에 공감대가 형성돼 있어 최소한의 기준을 지키도록 노력하겠다”는 것인데, 안 지켜도 된다는 뜻에 다름 아니다.
이 회장은 또 “우수한 외국어 학교라면 필요한 자격을 갖춘 학생에게 가산점을 줄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사실상 고교등급제를 시행하겠다는 이야기다. 이 회장이 총장으로 있는 고려대는 2009 수시전형에서 고교등급제를 시행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었다. 이제 고교등급제가 전체 대학으로 확산되는 게 아닌지 우려된다.
그는 사견임을 전제로 했지만 “100억원 정도 들여 건물을 지어주는 사람의 2, 3세가 수학능력 검증을 거쳐 정원 외 1% 정도 입학을 허용하는 제도는 교육에 도움이 된다”고 기여입학제를 옹호했다. 기여입학제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지만 부정적 여론이 많아 당분간 도입하지 않기로 한 상황에서 대교협 회장이 그런 말을 하는 것은 온당치 않다. 그는 얼마 전 “우리나라 대학 등록금이 교육의 질에 비해 싼 편”이라고 말해 비난을 받았었다.
이 회장의 가벼운 입도 문제려니와 입학사정관제 공통기준이 과연 지켜질지 여부가 명확하지 않은 것은 그냥 넘길 일이 아니다. 입시생들은 공인 어학시험이나 경시대회를 챙겨야 하는 것인지 필요가 없는 것인지 더 헷갈리게 됐다. 이런 것도 정리하지 못해 국민을 골탕 먹이는 교육과학기술부라면 차라리 해체하는 게 낫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