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일변도 벗고 단독·연립주택 주거환경 개선… 新저층주거지 ‘서울휴먼타운’ 만든다

입력 2010-04-13 23:12


아파트 일변도의 개발방식에서 벗어나 단독·연립주택 등 저층주거지의 주거환경을 개선해 보존하는 정책이 추진된다.

서울시는 저층주거지를 아파트로 개발하지 않고 보안·방범·편의시설을 개선해 생활터전을 유지하는 ‘서울휴먼타운(Seoul Human Town)’으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13일 밝혔다.

서울휴먼타운은 다세대·다가구 밀집지역, 단독주택 밀집지역 등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어 각각 인근의 재개발구역과 결합개발방식으로 추진된다. 재개발되는 아파트의 용적률을 높여주고, 대신 5% 내외의 기부채납을 받아 인근 저층주거지에 보안·방범·편의시설 등의 기반시설을 설치하게 된다.

신중수 시 재개발1팀장은 “재개발구역에 인센티브를 주고, 인근 저층주거지는 보존하려는 취지”라며 “이 같은 결합개발마저 없다면 저층주거지도 아파트로 재개발돼 서울은 고층 아파트 단지로 넘쳐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은 그동안 아파트 위주의 주택공급으로 주거지역(223㎢) 가운데 아파트(가구 수 기준)가 절반 이상인 56%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1970년부터 5층 이하 단독·연립·다세대·다가구주택은 한해 평균 1만 채 이상씩 사라졌고, 같은 기간 아파트는 13배 이상 증가했다.

저층주거지를 재개발구역과 묶어 결합개발하려면 현행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주거환경관리사업’ 조항을 신설해야 한다. 시는 국토해양부에 건의한 뒤 법제화되면 서울휴먼타운 조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법제화 이전까지는 시 예산을 투입해 서울휴먼타운을 조성한다. 단독주택 밀집지역인 암사동 서원마을과 성북동 선유골, 인수동 능안골 등 3곳이 시범사업지로 선정, 6월부터 기반시설 지원공사를 시작한다. 내년부터 연간 5∼6곳씩 확대 시행할 계획이다.

갈현동, 연남동, 상수동 등 다세대·다가구지역도 2∼3곳을 시범사업지로 선정해 서울휴먼타운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서울휴먼타운은 구청장이 주거환경관리사업계획을 수립하면 구청장과 주민대표회의 등이 협의체를 구성해 사업을 완료한 후 주민들이 유지관리하게 된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