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012년 核안보정상회의 유치를 기대한다
입력 2010-04-13 23:13
정부가 2012년 2차 핵안보정상회의를 유치했다.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고 있는 핵안보정상회의의 바통을 이어 받아 다음 번 회의를 서울에서 개최하기로 13일 확정된 것이다. 그 의미는 역사적이라 할 만하다. 2차 정상회의 개최지로서 서울은 핵무기 보유를 공언하며 두 차례 핵실험을 한 북한의 위협에 정면으로 노출된 곳이다. 북한의 핵 야욕을 견제하는 데 이보다 더 적합한 행사는 없을 것이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4월 체코 프라하에서 ‘핵 없는 세상’을 제창하며 핵테러 저지를 위한 국제협력 방안으로 핵안보정상회의를 제의했다. 이에 호응해 우리나라 등 47개국과 유엔 국제원자력기구(IAEA) 유럽연합(EU) 정상들이 12일부터 워싱턴에서 사상 최초의 핵안보정상회의를 열고 있다. 마지막 날인 오늘 참가국들은 핵물질이 테러집단에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핵방호 시스템을 4년 내에 확립하자는 오바마 대통령의 제안을 지지하는 공동성명과 이를 위한 행동계획을 발표한다.
회의에 참석한 빅토르 야누코비치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어제 자국이 보유한 고농축우라늄 전량을 2012년까지 폐기하겠다고 선언했다. 핵안보정상회의가 아니라면 나오기 어려운 결단이다. 미국은 과거 10년 넘게 우크라이나에 고농축우라늄 폐기를 종용해 왔었다. 이런 가시적 성과에 힘입어 오바마 대통령은 2년 뒤 2차 핵안보정상회의 필요성을 강조했고 이명박 대통령이 이를 적극 수용해 2차 회의를 유치한 것이다.
핵안보정상회의는 1945년 유엔헌장을 채택한 샌프란시스코 회의 이후 미국이 주최한 국제정상회담 중 최대 규모다. 우리나라가 2차 핵안보정상회의를 유치한 것은 올해 서울에서 개최될 G20보다 더 큰 외교 성과다. 경제정상회의인 G20에 이어서 안보정상회의까지 주최함으로써 국격을 높이고 글로벌 리더십을 과시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핵안보정상회의는 특정 지역 핵문제보다 핵물질이 테러집단에 이전되는 것을 막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북핵이 직접 의제가 되지는 않지만 참가국 정상들이 그 위험성을 인식하는 것은 필연적이다. 서울에서 열리는 2차 핵안보정상회의는 북핵 해결을 위한 국제 공감대를 강화하는 전기도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