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안보 정상회의] 정상들 “4년 내 핵물질 안전장치 확보” 성명 채택

입력 2010-04-13 23:12

제1차 핵안보정상회의 참가국 정상들은 핵안보 증진을 위해 4년 안에 모든 취약 핵물질을 방호(secure)하는 데 적극 동참하기로 했다.

47개국 정상(급) 등 50개의 국가 및 국제기관 대표들은 13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1차 핵안보정상회의에서 ‘4년 내 핵물질 방호 확보’ 등을 주요 내용으로 정상성명을 채택했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의 ‘4년 내 취약 핵물질 안전 확보’ 제안에 각국 정상들이 동참의사로 호응한 것이다. 정상성명은 법적 구속력은 없으나 정상 차원의 서약을 담은 정치적 문서다.

각국 정상들은 전문과 12개 항의 주제별 합의 사항, 그리고 결어로 구성된 정상성명을 통해 “핵 테러는 국가안보에 대한 가장 도전적인 위협 중 하나”라면서 “강력한 핵 안보 조치는 테러리스트, 범죄자, 권한 없는 자의 핵물질 취득을 방지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의견을 함께했다.

앞서 빅토르 야누코비치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오바마 대통령과의 양자 정상회담 뒤 자국이 10년간 보유해온 고농축우라늄(HEU) 163㎏ 전량을 2012년 제2차 핵안보정상회의 때까지 폐기하겠다고 발표했다. 우크라이나는 옛 소련 붕괴 후 보관 중이던 핵미사일을 폐기한 바 있다. 스티븐 하퍼 캐나다 총리도 연구시설에 보관 중인 HEU를 2018년까지 미국에 이관할 것이라고 밝혔다. 칠레 정부도 핵무기 제조 가능한 HEU 18㎏을 미국에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오바마 대통령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은 양자 정상회담에서 이란 핵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인식을 같이하는 등 이란핵 제재에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외신들이 전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