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안보 정상회의] 2차 핵안보정상회의 한국서 개최

입력 2010-04-14 01:37


대한민국 서울이 2012년 상반기에 열리는 제2차 핵안보정상회의 개최지로 결정됐다.

이명박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제1차 핵안보정상회의 첫 번째 회의를 마친 뒤 기자회견을 통해 한국이 제2차 핵안보정상회의 개최국으로 선정됐음을 밝혔다. 핵안보정상회의를 주도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앞서 한국을 2차 개최국으로 지명했고, 이 대통령은 이를 수락했다. 47개 참가국과 국제원자력기구(IAEA) 등 3개 국제기구는 만장일치로 동의했다. 2차 핵안보정상회의는 한국이 유치한 역대 최대 규모의 정상회의다.

이 대통령은 한국에 생중계된 기자회견에서 “우리가 올해 11월 개최하기로 한 G20 정상회의가 세계 경제의 최상위 정상회의라고 한다면, 핵안보정상회의는 안보적 측면과 원자력 산업의 평화적 이용에 관련된 최상위 회의”라며 “두 회의가 동시에 대한민국에서 열리게 된 것은 국민들의 성원 덕분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북한을 초청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북한이 앞으로 2년간 6자회담을 통해 핵을 포기하는 확실한 의지를 보이고, 핵확산금지조약(NPT)에 가입해서 세계가 합의한 사항에 따른다면 기꺼이 초대하게 될 것이며, 그렇게 될 수 있도록 세계 모든 정상들과 함께 북한 핵을 억제하는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북한의 선(先) 핵폐기를 요구한 셈이다.

한국이 차기 회의 개최국으로 선정된 것은, 한국이 NPT 등 비확산 규범을 성실히 준수하면서 민수용 원자력 이용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는 모범국가란 점과 한반도가 핵 문제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점이 고려된 것으로 평가됐다.

특히 오바마 미 대통령은 지난 1일 이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차기 회의를 한국이 개최해 줄 것을 이 대통령에게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이 오바마 대통령의 요청에 긍정적으로 답변하면서 한국의 2차 핵안보정상회의 유치가 급물살을 탔다.

청와대는 2차 회의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 협력 강화, 우리 원전 산업의 해외 진출 기반 강화, G20 정상회의 유치와 함께 국제사회에서의 위상 강화 등을 주요한 기대효과로 꼽았다. 정부는 조만간 2차 핵안보정상회의 준비를 위한 기획단을 구성할 예정이다.

이 대통령은 또 내년 핵물질 불법거래 방지 등을 위한 국제기구인 세계핵테러방지구상(GICNT) 총회를 한국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13일 오후 핵안보정상회의 2차 세션 참석을 끝으로 2박3일간의 워싱턴 일정을 마무리했으며, 전용기 편으로 14일 밤 귀국할 예정이다.

워싱턴=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