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서울시장 선거전략… 한나라 ‘韓 후폭풍’ 차단 당력 집중

입력 2010-04-13 18:27

‘한명숙 무죄 판결’을 계기로 6·2 지방선거 열기가 달아오르고 있다. 호남 공천 잡음 등 악재에 휩싸였던 민주당은 재판 결과를 지방선거 압승을 위한 반전의 계기로 삼겠다는 분위기다. 반면 여권은 정권심판론 확산으로 이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무죄판결 후폭풍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최대 승부처인 서울시장 선거에 임하는 여야 전략도 이에 초점이 맞춰졌다.

◇한나라당=한나라당은 무죄 판결 이후 한 전 총리의 지지율이 급등하고 있는 게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두언 지방선거기획위원장은 13일 라디오방송에 출연, “시간이 지나면 결국 (한 전 총리가) 서울시장으로서 적절한지 여부를 시민들이 판단할 시간이 다시 온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병국 사무총장도 한 전 총리가 판결 후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묘역이 있는 김해 봉하마을과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저인 동교동을 방문한 것을 두고 “한 전 총리는 서울 시정을 어떻게 끌고 갈 것인가 하는 것보다는 꼭 ‘유훈(遺訓)선거’를 하려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한나라당은 경선 흥행 카드를 통해 대세를 잡겠다는 방침이다. ‘대세론’을 내세운 오세훈 시장, ‘개혁성’이 무기인 원희룡 의원, ‘최초 여성 서울시장’ 구호를 내건 나경원 의원, ‘지방행정 전문가’ 평가를 받는 김충환 의원이 치르는 경선 레이스가 서울시민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는 것이다.

◇민주당=민주당은 한 전 총리가 후보로 확정되지 않았다는 점 때문에 한 전 총리에 맞춰진 선거 전략을 공개적으로 밝히진 못하고 있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준비된 시장론’과 ‘MB심판론’을 주요 선거 전략으로 준비 중이다.

당 관계자는 “이명박, 오세훈 두 역대 시장이 후보일 당시 경력은 CEO 출신 재선 의원, 변호사 출신 초선의원이었다”며 “반면 한 전 총리는 재선의원, 장관, 최초 여성총리 등을 거쳤다는 점에서 가장 잘 준비된 서울시장 후보”라고 말했다.

또 노 전 대통령 수사의 연장선상으로 한 전 총리 수사가 진행됐다는 점을 적극 부각시켜 선거를 ‘MB 정권심판의 장’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한 전 총리 측근은 “‘한명숙 무죄’는 현 정권이 비리 연루 인사들로 몰고 갔던 친노세력 전체에 대한 무죄판결과 같은 것”이라며 “친노 결집뿐 아니라 현 정부의 독선에 지쳐 있는 국민들의 울분이 이번 선거로 표출될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다 민주당은 정권심판론을 고리로 노회찬 진보신당 대표와의 서울시장 후보 단일화도 적극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별건수사 연기론 확산=한나라당 내부에서 한 전 총리에 대한 검찰의 별건수사를 연기해야 한다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다. 남경필 인재영입위원장은 라디오방송에서 “한 전 총리에 대한 별건수사가 정권견제론에 불을 지피는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을까 우려된다”며 “지방선거가 50일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선거 이후로 미루는 게 좋겠다”고 밝혔다. 다른 당직자는 “한 전 총리 무죄 판결 이후 역풍이 불고 있어 검찰이 이제 야당 선거대책본부장이라는 볼멘소리도 터져 나온다”고 말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