굳히고·세일즈하고·높인다… 워싱턴 핵안보정상회의 참석한 이 대통령
입력 2010-04-11 19:09
이명박 대통령이 12∼13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핵안보정상회의(Nuclear Security Summit) 참석을 위해 12일 오전 워싱턴에 도착했다.
이 대통령은 12일 환영 리셉션과 정상 업무만찬, 13일 두 차례 정상회의를 통해 주요국 정상들과 핵 안보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하게 된다.
이 대통령은 이번 회의를 통해 세 가지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한·미 간 핵 문제 공조 재확인, 국제 원전시장 개척, 글로벌 리더십 제고다. 우선 한·미 간 핵 문제에 대한 긴밀한 파트너십을 재확인하게 된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11일 “이 대통령은 12일 정상 업무만찬을 통해 핵 문제에 대한 원칙, 북핵 문제의 근원적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 등을 얘기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으로 한국 원전의 우수성을 알리는 잠재적 원전시장 개척이다. 핵안보정상회의에 참석하는 47개국 중 20여개국이 현재 신규 및 추가 원전 건설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 대통령은 한국이 32년간 원전을 가동해오면서 원전 사고가 한 차례도 발생하지 않은 유일한 나라인 점, 원전 가동률이 93%에 달할 정도로 기술력이 앞서 있다는 점 등을 집중적으로 알릴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국제적인 위상 제고다. 우리나라가 11월 유치한 G20 정상회의가 경제와 관련된 최상위 포럼이라면 핵안보정상회의는 안보 분야 최상위 포럼이라고 할 수 있다. 청와대는 핵안보정상회의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대한민국의 다자 군축·비확산 외교에서도 우리 위상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핵안보정상회의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추진 중인 ‘핵 없는 세상’ 정책의 세 가지 전략인 핵 군축, 핵확산금지조약(NPT) 강화, 핵 테러 방지의 세 가지 전략 가운데 핵 테러 방지를 구체화하기 위한 회의다. 핵 군축은 지난 8일 미·러 간 핵감축 선언으로 구체화되고 있고, NPT 강화는 다음달 워싱턴에서 열리는 NPT 평가회의를 통해 구체화된다.
각국 정상들은 네 차례 회의를 마친 뒤 ‘정상성명’과 핵 테러에 공동 대응키 위한 구체적 행동계획을 담은 ‘작업계획(Work Plan)’을 채택한다. 회의 기간 중 오바마 대통령과 이 대통령의 양자회담은 예정돼 있지 않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상회의에서 이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이 옆자리에 앉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폭 넓은 의견교환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의 미국 방문은 올 들어 처음이며 취임 이후 다섯 번째다.
워싱턴=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