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한은총재 “민간 자생력 회복돼야 금리인상”
입력 2010-04-09 18:19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9일 기준금리 인상을 위해서는 민간 부문의 자생력 회복이 전제돼야 한다고 밝혔다. 김 총재가 취임 이후 처음 주재한 이날 금융통화위원회는 연 2.0%인 기준금리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기준금리는 14개월째 동결됐다.
김 총재는 이날 금통위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향후 통화정책은 현재의 금융 완화 기조를 유지하면서 우리 경제의 회복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운용하겠다”며 “다만 대내외적 경제 상황을 면밀히 검토해 적시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총재는 기준금리 인상 시기와 관련, “민간 자생력이 어느 정도 회복됐다는 판단이 있어야 한다”며 “국가 경제가 건실하게 안정을 유지하며 발전하느냐가 기준”이라고 말했다.
이는 기준금리를 상당기간 현 수준으로 유지하되 기준금리 인상은 국내외 경기회복 상황을 고려해 결정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최소한 상반기까지는 금통위에서 금리가 동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김 총재는 금리 인상으로는 증가하는 가계대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했다. 그는 “모든 경제 부문에 영향을 미치는 금리보다는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미시정책이 적절하다”며 “가계 빚은 비교적 중상위층이 집을 구입하기 위한 것이고 금융자산이 더 빨리 증가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위험한 수준이 아니다”고 평가했다. 전임 이성태 총재는 “경제학 교과서에는 가계 빚이 늘어나면 금리를 올리라고 돼 있다”며 장기화되는 저금리가 가계 부채 증가의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그는 물가에 대해서는 “상당히 안정된 모습”이라며 “하반기 이후, 내년에 가면 물가 상승 압력이 있을 것으로 전망하지만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은 걱정할 정도는 아니다”고 말했다.
배병우 기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