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침몰] “北 특이동향 없었다”… 국회정보위, 국정원장 출석 현안 청취
입력 2010-04-06 18:38
국가정보원은 6일 해군 천안함 침몰 사고와 관련, “북한의 특이동향은 없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이날 오후 원세훈 국정원장이 출석한 가운데 개최된 국회 정보위 전체회의에서 이같이 설명했다고 복수의 정보위원들이 전했다. 정보위 소속 한 의원은 “‘북한 소행이라면 당시 우리 해군이 훈련 중이었기 때문에 전쟁에서 진 것과 같다. 체크된 동향이 있느냐’고 질의하자 국정원장은 ‘특이동향이 없었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국정원은 “(북한이 연루됐다는) 물증은 없지만 북한이 연루됐다는 증거가 있다고 한다면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지시했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하지만 국정원은 “전체 정황상 이번 사고가 북한의 소행이라면 김 위원장의 지시 없이는 발생할 수 없는 수준의 일인데 후계자 문제나 방중, 화폐 개혁 등을 감안하면 (북한과의 연계성은) 부정적”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정보위 소속 또 다른 의원은 “북한의 1인 독재 체제의 정책결정 메커니즘을 알고 있다면 만의 하나 북한이 천안함 사고와 연루됐다면 해군부대, 정찰국 차원에서 한 것은 아닐 것이라고 국정원은 보고했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또 비공식 루트를 통해 입수한 정보라는 점을 전제로 “북한 내부에서도 ‘북한이 연루됐다는 것은 북한 내부를 잘 모르고 하는 소리’라는 말이 있고, 또 어떤 어떤 부대가 했다는 말도 있다”고 보고했다.
회의에서 민주당 소속 정보위원들은 “초계함 3척과 이지스함이 당시 북한 잠수정이나 잠수함의 움직임을 실시간 체크하고 있었을텐데 방어선이 뚫린다는 게 말이 되느냐” “만약 교전에 준하는 전투상황인데도 파악 못 했을 수도 있느냐”고 거듭 따졌다. 이에 국정원은 “미국과 정보 교환을 하고 있는데 북한 개입과 관련해 파악이 안 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국정원은 김정일 위원장이 오는 25일쯤 방중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은 “김일성 주석의 생일(4.15)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의 해외 방문 일정 등을 감안할 때 김 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한다면 25일쯤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