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국회 개회… 천안함 침몰사고 정치권 공방

입력 2010-04-05 18:16


여야가 4월 국회를 열자마자 해군 천안함 침몰 사고를 놓고 맞붙였다.

민주당은 천안함 침몰 사고를 현 정권의 ‘안보재난 사태’로 규정하고, 사고 처리 과정에서 정부와 군이 조직적으로 정보를 은폐하고 있다는 의혹을 집중 제기했다.

정세균 대표는 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천안함 침몰 사고와 관련, “사실을 은폐하거나 가공하거나 속이려 해선 안 된다”고 경고했다.

민주당은 군이 침몰 사고 시간을 공식적으로만 네 차례 번복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언론이 공개한 상황일지에는 사고 시간이 군 발표(9시22분)보다 7분 앞선다는 점을 새로운 은폐 정황으로 주목하고 있다. 이와 관련, 김진표 최고위원은 “실체를 밝히기 위해서는 상황일지에 9시16분 백령도 해군대에서 최초로 폭음을 감지하고, 2함대사령관과 함참 작전처장이 통화했다고 적혀있는 등의 의문점을 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부 최고위원은 이 대통령이 “초기 대응은 잘됐다”고 평가한 것도 군의 은폐·조작된 정보에 따른 것이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박주선 최고위원은 “국군통수권자인 이명박 대통령이 군 당국으로부터 허위와 조작된 정보를 받고 농락당하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핵심 의혹 중 하나인 사고발생 시각 규명을 위해 생존 장병들과의 공개 면담 실시와 긴급 안보장관회의 소집을 이 대통령에게 촉구했다. 송영길 최고위원은 “국방장관과 해군참모총장을 그대로 두고 진상 조사를 하면 자신들이 책임 있는 부분에 대해선 제대로 조사할 리가 없다”면서 “객관적 사고조사를 하기 위해선 이들의 해임이 필수불가결하다”고 말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야당의 공세는 국민 불신이 고조되는 상황을 악용해 국민 불안을 조장하고 지방선거 국면을 유리하게 끌고 가겠다는 의도라고 폄하했다. 불필요한 국민 불안감을 자극하는 대신 정부의 사고원인 조사 작업을 지켜본 뒤 그래도 의혹이 있으면 국회 차원의 조사에 들어가겠다는 것이다.

정몽준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촌각을 다투는 구조작업이 일단락된 이상 (사고원인에 대한) 추측이나 억측에 귀를 기울이지 마시고 정부의 종합발표가 나올 때까지 기다려 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본회의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통해 “온갖 유언비어, 음모론 등이 난무하는 현실이 안타깝다”며 “인내하고 기다리면 진실은 반드시 드러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 원내대표는 “안보문제에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며 “무엇보다 사고의 원인과 초기대응 및 구조 활동의 문제점을 철저히 규명토록 하겠으며, 야당이 요구하는 국회 진상조사단을 구성하는 데도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박근혜 전 대표는 자신의 미니홈피에 올린 글에서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에 대해 최고의 예우를 갖춰야 한다”며 “국민이 이해하지 못하고 의혹을 가지는 부분이 없도록 정확하게 밝혀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