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사라진 4월 정국… ‘천안함 블랙홀’ 여야 대응책 ‘깜깜’

입력 2010-04-04 18:49

6·2 지방선거가 두 달 앞으로 다가왔지만 ‘천안함 블랙홀’에 빠진 정국은 그야말로 시계(視界) 제로 상태다. 오는 7일부터 시작되는 대정부질문에선 천안함 침몰 사고를 둘러싼 여야의 치열한 공방전이 예상된다.

9일에는 한명숙 전 총리 1심 재판 결과가 나온다. 사태 추이에 따라 여야는 각각 보수와 진보 지지층 결집 효과를 볼 수 있고, 또 중간층 표심의 향방까지 갈릴 수 있다는 점에서 사태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대정부질문, 천안함 공방장 될 듯=국회는 7일부터 12일까지 대정부질문을 갖는다. 2월 임시국회 대정부질문이 세종시 논란의 각축장으로 변질됐던 것처럼, 이번에는 천안함을 둘러싼 여야의 전쟁터가 될 소지가 높다.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은 천안함 사고 대응 과정에서 나타난 정부의 무능력함과 정보 은폐 의혹을 집중 제기하며, 이를 정권 심판론으로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민주당은 천안함 사태 외에도 4대강 사업, 안상수 한나라당 원내대표의 ‘봉은사 직영사찰 전환 외압설’, 사법제도 개혁 논란 등 각종 이슈를 끌어들여 총공세를 펼칠 것으로 보인다.

반면 한나라당은 대정부질문을 통해 국민적인 의혹을 해소하고, 천안함 인양작업 등 향후 대책 마련에 주력할 계획이다. 핵심 당직자는 4일 “이번 사태에 잘 대처하는 것이야말로 최고의 지방선거 전략이라는 판단 하에 책임있는 집권 여당의 모습을 부각시키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동시에 군 지휘부에 대한 인책론 등에 대해서는 정치 공세로 일축하며 정면 돌파키로 했다.

◇한명숙 재판, 또 다른 화약고=한 전 총리의 뇌물 수수 의혹에 대한 재판 결과는 서울시장 선거 판세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의 유력한 서울시장 후보로 꼽히는 한 전 총리가 무죄 선고를 받을 경우 검찰의 표적수사 논란이 제기될 수 있다. 특히 다음달 23일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 1주기까지 겹치면서 한 전 총리 재판 결과는 진보진영 표결집의 촉진제가 될 가능성이 크다. 아울러 3파전 양상을 띠고 있는 한나라당 서울시장 경선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한 전 총리가 막강한 야권 후보로 부상할 경우, 여권에서는 한 차례 부상했다 소멸된 ‘제3 후보론’이 다시 부각할 수도 있다. 반면 한 전 총리에게 유죄 선고가 나면 야권에서 ‘후보 교체론’이 고개를 들 개연성도 완전 배제할 수 없다.

이 밖에 한나라당의 6인 중진협의체가 활동을 마치는 이달 중순을 기점으로 당내 친이명박계와 친박근혜계가 다시 세종시 문제로 충돌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히 세종시 문제는 지방선거 충청권 표심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선거를 앞두고 시간을 끌면 끌수록 한나라당으로서는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주 굵직굵직한 현안들이 어떻게 처리되느냐에 따라 향후 정국의 그림이 그려질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