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선진화 현장을 가다-⑨한국농어촌공사] ‘개혁=필수’ 슬로건… 공공기관 혁신 모범으로

입력 2010-04-04 19:15


“개혁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지난달 30일 경기도 의왕시 포일동 한국농어촌공사 인재개발원. 1층 로비의 ‘개혁=필수’를 강조하는 입간판이 눈길을 끌었다. 본관 전면에는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최우수기관 선정’이라는 현수막이 걸려 있었다. 공기업 혁신을 선도하고 고객서비스 개선에 주력하고 있는 농어촌공사의 현주소이다.

한국농어촌공사는 이명박 정부가 추진하는 공기업 혁신의 선두에 선 기관으로 꼽힌다. 2008년 9월 부임한 홍문표 사장은 국경 없는 무한경쟁시대가 본격화됨에 따라 공기업도 글로벌경쟁력을 갖춘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경영혁신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이를 위해 경영선진화 기획단을 조직하고 공사의 조직과 인력을 총체적으로 재검토해 인력 및 조직 개편방안을 제시했다. 협의과정에서 노조와 많은 갈등이 있었지만 지속적인 설득과 협상으로 전 조합원의 투표를 통한 노사대타협을 이뤄냈다. 특히 총 정원의 15%에 달하는 844명의 인력과 부서조직 20% 감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홍 사장을 포함한 전 임직원이 급여 일부를 모아 퇴직자들에게 위로금을 전달해 고통을 분담하는 상생적 노사화합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냈다.

노사간 신뢰가 쌓이면서 농어촌공사의 경영선진화는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지난해 1월 주요 부서장의 83%를 교체하는 등 인사쇄신을 통해 능력위주의 일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7월에는 노조의 인사 및 경영권 불개입 선언과 공기업 최초의 단체협상 체결로 건전하고 상생적인 노사문화를 정착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그동안 고비용 저효율의 원인으로 지적됐던 저성과자와 무사안일자에 대한 ‘상시퇴출체제’를 구축했으며 외부인사를 참여시킨 개방형 승진심사제도, 검증 기능을 강화한 승진심사 3심제, 전보심사제, 성과개선대상자 관리제도를 도입하는 등 성과와 역량 중심의 인사제도 혁신을 단행했다. 특히 개방형 승진심사제는 민간기업에서도 도입하기 어려운 획기적인 인사제도로, 청와대에서도 추진경위에 관심을 보였다고 한다.

인력 및 조직의 구조조정과 노사간 고통분담을 거치면서 공기업 혁신의 모델을 한발 앞서 제시했던 농어촌공사가 2009년 인사제도 쇄신이라는 제2의 혁신과제를 달성한 것이다.

농어촌공사는 인력부문의 효율화와 인사제도 쇄신 운영 등 경영선진화의 추진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노동생산성을 증대시키면서 2009년 결산기준 영업이익 787억원 흑자를 달성하고 올해 예산의 50%를 증액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같은 노력에 힘입어 2009년 공공기관 고객만족경영대상(능률협회), 제33회 국가생산성대회 대통령상 수상(한국품질경영학회), 부패방지시책평가 최우수기관 선정(국민권익위원회), 기획재정부 주관 고객만족 최우수 기관 3년 연속 선정 등 외부평가에서도 눈부신 성과를 거두었다.

농어촌공사의 혁신이 가능했던 것은 공사의 선진화 노력이 실질적인 경영성과로 이어지면서 직원들의 85%가 자립형 공사실현을 위한 경영혁신에 찬성하는 등 직원들의 의식변화와 적극적인 동참이 있었기 때문이다.

올해도 농어촌공사는 권한의 하부위임과 노사관계선진화, 글로벌 역량강화, 임금과 연계한 성과보상시스템 등 그동안의 경영선진화 성과가 뿌리내릴 수 있도록 자율적 혁신 노력을 지속할 방침이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