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 재산 공개] 鄭총리 18억… 144만원 늘어
입력 2010-04-02 18:39
부동산 가격 하락세가 뚜렷했던 지난해 고위 공직자들의 재테크 트렌드는 주식이었다. 펀드나 증권에 집중적으로 투자해 재산을 늘린 경우가 많았다.
김쌍수 한국전력공사 사장은 전년도 재산공개 때보다 무려 15억6425만원 늘어난 108억원을 재산총액으로 신고하면서 재산증가 이유를 “주식평가액 증가와 간접투자증권 수익증가”라고 밝혔다. LG전자 등 LG 관련주에 집중 투자한 그는 본인뿐 아니라 부인과 장남까지 LG 관련주를 보유, 평가액이 크게 뛴 것으로 알려졌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도 펀드 가액 상승으로 6억원의 재산을 불렸다. 삼성전자 주식 3576주를 보유한 김기수 전직 대통령 비서관은 1년 사이 12억5000만원의 평가익을 냈다. 오거돈 한국해양대 총장도 금융수익 이자 등으로 12억375만원의 재산이 늘어났다고 신고했다.
‘둘둘치킨’ 창시자인 정동일 서울 중구청장은 1년 동안 상표권 수입으로만 13억1430만원의 재산이 늘어났다.
행정부 내 고위 공직자 가운데 1억원 이상 증가자는 365명이나 됐으며 10억원 이상 증가자도 14명이었다. 정운찬 국무총리는 전년도보다 144만원이 늘어난 18억35만원을 신고했다.
행정부 전체에서 가장 부자인 사람은 진태구 충남 태안군수(246억5592만원)였다. 상위 10걸에는 이밖에도 기초치단체장 2명과 기초의회 의원 2명 등 지방 ‘알부자’ 공직자들이 여럿 포진했다.
광역단체장 가운데는 정우택 충북지사의 재산이 63억2207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부동산 가격 인상과 예금 이자 등으로 8억875만원을 불려 상당한 재테크 실력을 선보였다. 펀드 평가액 상승에다 토지수용 보상금 등으로 재산을 불린 오세훈 서울시장은 55억9736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경기도의 경우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상당수 공직자의 재산이 줄어들었을 것으로 예상됐지만 김문수 지사(+1억1688만원) 등 경기도 산하 지방자치단체장 절반 이상의 재산이 증식된 것으로 나타났다.
신고재산 총액별로 분석해보면, 1억∼5억원(457명), 5억∼10억원(508명)이 전체의 절반을 넘었고 10억원 이상도 777명(42%)이나 됐다. 50억원 이상과 100억원 이상의 ‘거부(巨富)’ 공직자는 각각 57명과 8명이었다. 1억원 미만의 재산을 신고한 고위 공직자는 109명(5.9%)이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