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침몰] 국방장관이 ‘어뢰 공격’ 첫 언급…파편 발견이 관건

입력 2010-04-03 01:03


해군 천안함 침몰 원인이 어뢰에 의한 공격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김태영 국방장관은 2일 국회에서 어뢰 공격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대해 “조금 더 실질적”이라고 언급했다. 천안함 생존자 58명 중 상당수도 국방부 조사에서 “어뢰 공격 같다”고 증언했다. 사고 당시 생존자들의 느낌과 현재 장관의 판단이 어뢰 공격으로 모아지는 셈이다.

사고 직후 군은 기름 냄새가 났으나 화약 냄새를 맡았던 사람은 거의 없었다는 점을 들어 어뢰에 의한 공격 가능성을 적게 봤다. 하지만 선체 밑 해저에서 폭발해 버블효과를 일으키며 선체를 밀어 올리는 ‘버블제트’ 어뢰로 공격했다면 화염이나 화약 냄새가 나지 않을 수 있다는 반론도 제기되고 있다.

70t 규모로 소형인 북한의 유고급 잠수정은 수심 30m에서도 작전이 가능하며 구경 406㎜ 경어뢰 2발을 탑재하고 발사할 수 있다. 길이 7m가량으로 사거리 8~13㎞인 경어뢰의 탄두는 180㎏ 안팎이지만 1200t급 초계함의 해저에서 터지면 두 동강 낼 수 있다는 평가다.

여기에다 침몰 직전 천안함 중앙부분의 파괴된 단면이 C자형으로 찢기듯 갈라져 있는 점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진도 1.4~1.5 지진파가 발생했으며 이는 TNT 170~180㎏의 폭발력이라고 밝힌 점도 어뢰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통상 군에서 사용하는 기뢰가 폭발했을 때는 TNT 200㎏ 정도의 폭발력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지질연구원 신진수 박사는 “진동파 규모로 봐서는 어뢰에 의한 폭발이나 암초에 부딪힐 때 발생한 충격 등 다양한 원인이 고려될 수 있다”고 말했다.

군이 어뢰일 가능성에 주목한 것은 백령도 해상에서 과거 기뢰 제거작업이 진행됐고 기뢰 부설 훈련도 남해안에서 진행되는 등 기뢰사고 확률이 낮다고 보기 때문이다. 1975년 북한군의 상륙을 저지하기 위해 폭뢰 기능을 제거하고 전기식 뇌관을 갖춘 기뢰를 일부 설치했으나 이후 그 필요성이 줄어들어 제거했다. 일부가 제거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전기식 뇌관이 폭발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북한이 해안가에 설치한 기뢰가 떠내려 왔을 가능성도 있으나 최근 북한이 기뢰를 부설했다는 첩보는 없었으며 반잠수정도 기뢰를 설치할 능력이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어뢰 공격설이 확인되려면 어뢰의 파편이 발견돼야 한다. 현재 기뢰 탐색함인 양양함과 옹진함이 사고 해역에서 정밀탐색을 벌이고 있지만 아직 파편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어뢰 공격설은 선체를 인양하기 전까지는 확실하게 입증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그러나 침몰에 앞서 백령도 인근 해상에서 항해한 것과 관련, 작전구역에서 약간 벗어나 기동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암초 충돌 가능성도 완전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