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천안함 침몰 일주일] 이 판국에 保革 ‘쌍심지’

입력 2010-04-01 21:27

천안함 침몰 사고 원인 규명작업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자, 최대 관심사인 북한 개입 여부를 둘러싸고 보혁(保革) 갈등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보수, “북한 공격으로 침몰”=보수 진영은 29일 김태영 국방장관이 국회 국방위원회 답변에서 천안함 침몰에 북한 개입 가능성을 열어놓은 후 사고 원인으로 북측 소행에 방점을 찍는 분위기다. 어뢰 또는 기뢰에 의한 충격이 있었으며, 타격 주체가 북한군일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

보수 진영은 우선 천안함 침몰 시각을 전후해 북한 해군기지에서 반잠수정 4척이 움직였고 이를 한국과 미군의 정보계통에서 포착했다고 주장하며 북 연루설을 제기하고 있다. 또 침몰 직후 속초함이 대공 사격에 적합한 40㎜포 대신 함정이나 반잠수정 등을 공격하는 데 유용한 76㎜ 함포를 발사한 이유 역시 레이더에 나타난 물체를 북한의 반잠수정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여기에다 일부 언론이 속초함이 함포를 발사할 무렵 백령도 진촌리에 있는 해병부대에서는 많은 전차들이 시동을 걸고 이동할 태세를 갖췄다는 점을 보도한 것 역시 북한과의 교전 준비를 위한 것이라고 추정한다.

◇진보, ‘북 개입 가능성 없다’=진보 진영 일각에서는 북한의 공격 가능성보다 암초설이나 피로파괴설을 강조한다. 민주당 핵심당직자도 “암초와 선체 노후 두 가지가 복합 작용해 침몰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아울러 군이 공개한 ‘침몰-구조 동영상’에서 장병들이 전투복이 아닌 내복 등 평상복을 입고 있었다는 점 역시 당시 전투배치 태세가 아니었다는 것을 말해준다고 주장한다.

민주당 박지원 정책위의장은 1일 “일부 언론과 보수층에서 북한 소행설로 연기를 피우고 있다”며 “우리 정부 당국자나 고위층도 ‘북한의 개입 소지가 없다’고 하면서도 김태영 국방장관도 아리송한 발언을 하더니, 이제는 이명박 대통령도 맞장구를 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