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처, 스마트폰 프로그램 개발 ‘열공’

입력 2010-03-31 21:22


최근 아이폰 등 스마트폰이 인기를 끌면서 정부 부처들이 너도나도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 이하 앱) 개발에 동참하고 있다. 하지만 다운로드 건수 등 활용도가 부처별로 크게 차이가 나 일부 부처의 경우 내실 있는 앱 개발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또 전체 스마트폰에서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한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

기획재정부가 지난 2월 발표한 ‘시사경제용어사전’(사진)이 ‘대박’을 치면서 타 부처들도 손이 바빠졌다. 시사경제용어사전은 31일 현재 13만4000여건의 다운로드를 기록했고, 용어 추가 요청만 해도 1000여건이 넘었다. 이에 따라 앱 개발을 계획 중인 부처도 줄을 잇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와 법제처는 31일 각각 아이폰용 앱으로 ‘공정위 주요정책 정보’와 ‘국가법령정보’를 내놨다. 재정부는 첫 번째 앱에 이어 환율 등 경제지표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대한민국 거시지표’를 이달 중 출시할 예정이며, 교육과학기술부도 자녀의 성적 등 학교생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학부모 서비스’를 내놓을 계획이다.

하지만 특징 없는 ‘마구잡이식’ 개발은 지양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앞서 2월 문화체육관광부가 정부 블로그 콘텐츠를 모아놓은 앱 ‘미니공감’을 발표했지만 두 달이 지났는데 다운로드가 3000여건에 불과했고, 공정위도 정식 출시 전 시범 서비스를 실시했으나 다운로드가 수백 건에 그쳤다. 정부 관계자는 “너나없이 부처들이 무조건적인 앱을 개발하는 것은 낭비”라며 “부처 실정에 맞고 국민이 꼭 필요로 하는 것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앱 개발비용은 부처별로 다르지만 적게는 750만원에서 많게는 2500만원의 예산이 든다.

또한 대부분 서비스가 아이폰용이라 타사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의 불만도 제기되고 있다. 옴니아폰을 만드는 삼성이 정부 측에 직접 자사 앱을 개발해달라고 요구하기도 했다는 후문이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