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혈≠자원봉사’… 정부, 하반기부터 불인정

입력 2010-03-31 18:22

정부가 헌혈을 상급학교 진학이나 취업 등에 필요한 자원봉사 활동시간으로 인정하지 않기로 하면서 겨우 정상궤도에 진입한 헌혈문화가 다시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헌혈과 금품 기부행위를 자원봉사 활동으로 인정하지 않는 내용의 ‘자원봉사 인정·보상 기준안’을 마련, 하반기부터 시행할 계획이라고 31일 밝혔다.

기준안에 따르면 헌혈, 물품 및 현금 기부행위는 자원봉사 활동 시간으로 환산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 관계자는 “지금 헌혈 수준으로도 전국 병원에서 필요한 혈액량에는 못 미치는 실정”이라면서 “그나마 각급 학교의 자원봉사 제도로 헌혈률이 다소 회복세를 보였는데 이번 조치로 다시 떨어지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국민헌혈률(인구 100명당 1년간 헌혈자 수)은 지난해 5.27%로 6년 만에 5%대를 회복했으나 선진국 수준(6% 이상)에는 여전히 못 미치고 있다. 전체 헌혈자 수는 2003년 253만5343명이었으나 2004년(232만명)부터 2007년(208만명)까지 매년 10만명 이상씩 줄어들다 2008년부터 회복세를 보여 왔다.

한편 정부는 자원봉사활동 시간은 실제 봉사활동 시간을 기준으로 1일 8시간 이내 인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기로 했다. 행사안내 주변정리 등 단순 동원식 참여는 봉사활동 실적에서 제외된다. 중고생 봉사활동도 일반 기준과 동일하게 적용하되 교육 목적의 봉사활동은 학교나 교육청에서 인정 여부를 결정토록 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