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천안함 침몰 사고] 해군, 對기뢰전 신속대응 한계
입력 2010-03-30 19:28
천안함 폭발 원인 가운데 하나로 기뢰폭발설이 대두됨에 따라 우리 해군의 대(對)기뢰전 능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단 기뢰 탐지와 제거를 위해서는 이를 전문으로 담당하는 소해함과 소해헬기 등이 필요하다. 소해헬기는 기뢰탐지용 음파탐지기와 기뢰탐지레이더, 기뢰제거시스템 등을 갖추고 있다.
소해함은 평소 우리 군함이 다니는 항로와 주요 항구에서 기뢰부설 여부를 조사하고 이상물질이 발견되면 음파탐지기를 동원해서 위치를 확인하고 로봇류의 장비를 투입, 제거하는 작업을 한다. 그러나 해역을 일일이 탐색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린다. 반면 소해헬기는 빠른 속도로 사고 해역을 선회하며 침몰체를 찾아낼 수 있다.
해군은 소해함 9척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번처럼 예기치 않은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신속하게 대응하는 데 제한이 많다. 이 때문에 해군 일각에서는 신속하게 이동, 기뢰 탐지 및 제거를 할 수 있는 소해헬기가 있었다면 보다 빨리 천안함의 함미와 함수를 발견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번에 소해함인 730t급 옹진함과 양양함은 모항인 진해항을 떠나 38시간이 걸려 백령도 인근 사고해역에 도착했다.
기뢰는 통상 아군의 주요 항구 등에 매설해 적군 함정이 근접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천안함 침몰 사고가 북한 기뢰에 의한 것인지는 분명치 않지만 북측이 우리 군의 항로나 항구에 기뢰를 매설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북한은 6·25 전쟁 때 원산 인근에 300여개의 기뢰를 매설해 7일간 미군의 공격을 지연시키기도 했다. 군사 전문가들은 “북한이 레이더에도 잘 잡히지 않는 기뢰를 개발하고 있다”며 “방어용을 넘어 우리 군의 해상작전구역에 은밀히 매설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해군은 2016년까지 소해헬기 8대를 도입할 계획이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2017년 이후로 연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