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린 폐교·경찰서 사들여 청사로 고쳐써요”… 호화청사 논란속 예산절감
입력 2010-03-30 18:16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호화 청사로 빈축을 사고 있는 반면 폐교와 빈 경찰서 청사 등을 리모델링해 청사로 활용하는 ‘알뜰 지자체’가 적지 않아 주목을 받고 있다.
30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부산 서구는 더 넓은 청사가 필요하자 건물을 새로 짓는 대신 인근의 낡은 폐교를 매입했다. 학교 주변의 숲을 그대로 살리고 운동장은 주차장으로, 건물은 리모델링해 멋진 청사로 재탄생시켰다.
대구 남구는 오래된 학교 건물을 41억3700만원에 리모델링해 새 건물처럼 사용하고 있다. 일부 지자체가 청사 신축에 수천억원을 쏟아 붓는 것과 정반대다.
경남 통영시 역시 별관을 새로 짓지 않고 옛 경찰서 건물을 사들여 새 건물처럼 리모델링해 사용하고 있다. 시는 옛 경찰서 유치장 구조를 원형 그대로 살려 전시장으로 바꿔놓기도 했다.
경북 영주시는 청사 리모델링을 통해 신축했을 경우에 비해 110억원의 공사비를 아꼈으며 울산시도 별관 리모델링을 통해 공사비를 74억원 줄였다.
서울 성북구는 관내 17개 동 청사를 새로 짓지 않고 전부 리모델링했다. 일부 동의 경우 청사를 새로 지은 다음 옛 건물을 헐어내지 않고 새 단장해 복지시설로 탈바꿈시켰다.
전남 보성군은 리모델링을 통해 태양광 발전시설과 친수 공간을 조성해 저탄소·녹색형 청사로 변모시켰다.
행안부는 이날 부산 서구와 경북 영주시청 등 9개 지자체를 청사 리모델링 우수기관으로 선정해 발표했다. 행안부는 이들 지자체에 재정적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다.
행안부는 이밖에 에너지 절감 우수단체로 대전시와 경기도 가평군, 전남 여수시 등 5개 지자체를 선정했다.
대전시는 전체 전등 가운데 업무에 지장을 주지 않는 12%의 전등을 제거했다. 가평군은 4개 읍·면에 태양광을 설치해 전기 사용량의 9.8%를 절감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첨단 공법이 동원된 리모델링은 신축보다 예산만 적게 드는 게 아니라 공기를 단축하고 에너지 사용량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면서 “앞으로 이 같은 사례가 전국 지자체에 청사진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