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천안함 침몰 사고] 4차례 열린 안보장관회의 무얼 논의했나… 초기엔 北공격 가능성 점검

입력 2010-03-29 21:03

해군 천안함 침몰사고 수습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했던 청와대 안보관계장관회의는 무엇을 논의하고, 어떤 역할을 수행했을까. 사고원인 규명과 실종자 수색이 늦어지면서, 안보관계장관회의에 대한 곱지 않은 여론마저 생겨났다.

안보관계장관회의는 사고 발생이 청와대에 보고된 지 15분 만인 26일 밤 10시에 첫 소집됐다. 이후 27일 두 차례, 28일 한 차례 개최됐다. 총 회의 시간만 10시간이 넘는다. 회의가 열리는 청와대 지하벙커는 합동참모본부, 공안정보망, 국가안전관리정보망 등과 핫라인이 연결돼 있으며 국내외 모든 선박과 전투기 항공기 등과도 실시간 통화가 가능한 곳이다.

박선규 김은혜 두 대변인과 회의 참석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2차 회의까지는 북한군 공격가능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뤄졌던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29일 “사고지역에 대한 정보기관의 감청자료와 다양한 북한 관련 상황들이 종합적으로 검토됐으며, 침몰이 북한과 관련됐다는 증거들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 공격 징후들이 포착됐을 경우, 안보관계장관회의는 곧바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로 격상됐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김 대변인은 26일 밤 첫 브리핑에서 “북한 연계 여부는 확실치 않다”고 밝혔다가, 27일 오후 브리핑에서는 “북한의 특이동향은 없는 것으로 보고됐다”고 브리핑했다. 톤이 낮아진 셈이다.

3∼4차 회의에서는 실종자 구조 대책과 사고원인에 대한 유언비어 난무 등에 대한 우려들이 집중 논의됐던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4차 회의에서 “(원인에 대해) 섣부르게 예단해서는 안 된다. 한 점 의혹 없이 모두 다 공개하도록 하라”고 지시한 것도 이러한 우려를 반영한 대목이다. 김 대변인은 ‘안보관계장관회의가 회의만 많지 내용이 별로 없다’는 야당의 비판에 대해 “원인이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함부로 회의 내용들을 공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29일 안보관계장관회의를 추가로 개최하는 대신 청와대 내 국가위기상황센터가 수시로 이 대통령에게 보고하는 ‘상시점검체제’를 유지키로 했다고 밝혔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