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정부, 네 차례 안보장관회의… 원인 파악·대책 마련 분주

입력 2010-03-28 21:59


해군 천안함 침몰 발생 사흘째인 28일 정부는 비상체제를 가동하며 사고 원인 파악과 대책 마련에 분주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오전 11시 청와대에서 네 번째 안보관계장관회의를 소집했다. 이 대통령은 사건 발생 직후인 지난 26일 오후 10시 긴급 안보장관회의를 소집한 데 이어 27일 오전과 오후에도 한 차례씩 회의를 가졌다.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15분까지 진행된 이날 회의에서 이 대통령은 사고해역 수색에 착수한 해군 해난구조대(SSU)의 활동 상황 등을 보고받고 “현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생존자 구조”라고 강조했다고 박선규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이 생존자 구조를 거듭 촉구한 것은 실종자 가족과 국민에게 정부가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고 있음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이 대통령이 “가족에게는 안타까운 마음을 헤아려 진행 상황을 소상하게 설명하라. 그리고 필요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말라”고 지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 대통령은 또 “예단을 근거로 혼란이 생겨서는 안 된다”며 철저한 진상조사와 조사 내용의 즉각적인 공개를 지시했다. 사고 원인 규명이 늦어지면서 각종 의혹과 유언비어가 난무하고 있는 점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군에 대해서는 필요 이상 불안이 생기지 않도록 모두 각자 위치에서 흔들리지 말고 임무를 수행해 줄 것을 당부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많은 실종자가 나왔지만 해군의 초동대응은 잘됐다고 생각한다”며 “피해가 안타깝지만 그나마 초기대응이 잘 이뤄져서 더 큰 피해를 막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천안함 실종자 구조와 사고원인 조사가 길어짐에 따라 청와대는 전 직원이 비상근무 체제를 유지했다. 외교안보수석실은 국방부, 통일부, 외교통상부 등으로부터 시시각각 올라오는 보고를 점검하면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느라 24시간 초긴장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정운찬 총리도 오전 정부중앙청사에서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전반적인 대책을 논의한 후 오후에는 전격적으로 사고 현장을 방문했다. 정 총리는 공군 헬기를 타고 2시40분쯤 백령도에 도착한 후 백령도 남단 장춘해안에 마련된 ‘구조작전지휘본부’ 막사에 들러 윤공용 해군 소장으로부터 탐색 및 구조작전 계획에 대한 브리핑을 들었다. 이 자리에서 정 총리는 “실종 장병 가족들과 국민이 모두 걱정하고 있는 만큼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모든 실종장병이 구조되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말했다. 또 “이번 참사 원인을 철저하게 밝혀 달라”면서 “필요한 것이 있으면 정부가 최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총리는 이어 해병대 고무보트를 이용, 실종장병 구조작업이 한창 벌어지고 있는 상륙함 ‘성인봉호’를 방문한 데 이어 구조 및 탐색작업을 벌이고 있는 잠수사들을 해상에서 격려했다. 그는 당초 이날 실종장병 가족들을 만날 예정이었으나 사고 지점을 둘러보겠다는 가족들의 뜻을 존중, 만남을 다음 기회로 넘겼다.

군도 구조함인 광양함(3000t급)이 침몰 현장에 도착함에 따라 탐색·구조 작업에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했다. 외교통상부는 사건 발생 이후 미국과 일본, 중국, 러시아 등 북핵 6자회담 관련국과 긴밀한 공조체제를 유지하고 전 재외공관과 관련 내용을 공유했다. 주재국의 문의가 있을 경우 정부의 대응을 설명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통일부는 현재까지 남북 간 교류협력에 특이사항이 없는 만큼 북한의 금강산 부동산 조사와 관련한 출입경 등은 예정대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