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서 해군 천안함 침몰] 국방부 지하에 긴급조치반 가동

입력 2010-03-27 01:34

26일 밤 해군초계함 침몰 사실이 알려지면서 정부는 긴박하게 움직였다. 정부는 이번 사태가 북한의 도발에 의한 것일 수 있다는 가능성에 초비상 상태에 들어갔으나 시간이 갈수록 북 도발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면서 안도하는 모습이었다.

우선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는 침몰 사고 소식을 접하자 사태의 진위를 파악하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느라 분주하게 움직였다. 26일 오후 9시45분쯤 합동참모본부에 “백령도 남쪽에서 임무 중이던 초계함에 폭발이 일어나 침몰하고 있다”는 첫 보고가 전해졌다. 이 보고는 김태영 국방장관과 이상의 합참의장에게 곧바로 전달됐으며 청와대에도 즉각 보고됐다.

합참은 10시4분 27명으로 구성된 긴급조치반을 긴급 소집해 사태파악에 나섰으며 국방부는 10시30분 장광일 정책실장을 단장으로 하는 60명의 긴급조치반을 통해 원인파악과 후속조치에 들어갔다. 긴급조치반은 국방부 지하에 있는 지휘통제실로 집합해 백령도 현지부대로부터 시시각각으로 보고를 받았다. 김 장관은 곧바로 원인파악과 인명구조에 들어가라고 명령했다. 군은 일단 북한의 특이동향은 보이지 않아 전군에 경계령을 내리지는 않았지만 해군은 전군에 비상소집령을 내렸다.

평택 2함대 사령부와 서해 북방한계선 인근 부대는 북한군의 특이 동향에 대한 파악에 들어갔다. 또 사고가 발생한 백령도 현지 부대인 해병 6여단은 인명구조를 위한 지원병력을 요청했다.

해군본부를 비롯해 평택 2함대사령부, 해군 서울사무실에는 관계자들이 속속 모여 들었다. 갑작스런 사고소식에 해군본부 관계자는 “사고원인은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았고 일단은 인명구조가 우선이라 구조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외교통상부는 미국과 중국 등 한반도 주변국 외교당국과 긴밀하게 연락을 취하면서 이번 사태가 미칠 국제적인 영향을 분석하는 데 주력했다. 특히 이번 사태가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 등 외교일정에 차질을 빚지 않을까 노심초사하는 모습이었다.

통일부 역시 이번 사태가 북한의 대남전략과 관련이 있는지 분석하면서 사태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통일부는 만일 이번 사태가 북한의 공격에 따른 것이라면 그동안 소강상태를 보여온 남북관계가 급격히 냉각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대응전략 마련에 부심했다.

경찰청은 26일 밤 11시50분 인천과 서울, 경기, 강원지방청에 ‘을호 비상’을 발령했다. 을호 비상은 최상위 비상령인 갑호의 다음 단계로 소속 경찰관의 절반이 비상근무에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모강인 경찰청 차장은 “초계함 침몰 사고의 정확한 원인은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북한과 관련된 사건일 가능성을 완전 배제할 수 없는데다 청와대에서 안보관계장관회의까지 소집돼 비상을 걸었다”고 말했다.

최현수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