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아산 등 33개 기업체 52명 北 요구대로 3월 25일 금강산 집결
입력 2010-03-23 22:38
북한의 금강산 관광지구 부동산 조사에 응하기 위해 현대아산을 포함한 9개 사업체 인원 19명이 방북한다.
23일 통일부에 따르면 현대아산 실무자 4명과 금강산 관광사업 협력업체인 에머슨퍼시픽, 일연인베스트먼트 등 7개사 직원 12명, 한국관광공사 직원 3명이 방북을 신청했다.
현대아산 관계자는 “금강산 현지에 있는 금강산사업소 총소장인 심상진 상무가 대표로 부동산 조사에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가운데 현대아산과 협력업체 직원 16명은 25일 서울 연지동 현대그룹 본사에서 버스를 타고 함께 출발, 강원도 고성의 동해선 남북출입사무소를 통해 오전 9시40분쯤 출경할 예정이다. 관광공사 직원들은 별도로 하루 앞서 24일 오후 3시30분쯤 같은 곳을 통해 북에 들어간다.
정부는 대한적십자사(한적) 명의의 이산가족면회소 건물이 금강산 관광지구에 위치해 있지만 면회소 건물이 금강산 관광과 직접적 연관성이 없다는 판단에 따라 정부나 한적 관계자가 따로 금강산에 올라가지는 않기로 했다.
북한 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는 지난 18일 현대아산 등에 보낸 소집 통지문에서 금강산 관광지구 내 부동산 소유자들은 25일 오전 11시까지 금강산을 방문, 부동산 조사에 입회할 것을 요구한 바 있다.
북한은 현지 부동산의 소유 내역과 현황을 파악한 뒤 관광 사업이 재개되지 않는 한 일정 시점까지 인원과 물자를 철수해 달라는 입장을 부동산 소유자들에게 통보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홍익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명승지종합개발지도국과 함께 북한의 군부가 조사에 참여하는 것이 좋지 않은 신호”라며 “제시된 시한까지 관광 사업이 재개되지 않으면 계약을 무효화하겠다고 일방 통보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북한은 현대아산과의 관광 사업 계약을 무효화한 뒤 스스로 관광 사업에 나서거나 중국 관광업체 등 외국 업체를 활용해 금강산 관광 사업을 재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북한은 금강산 관광 사업의 대가로 받기로 한 9억4200만 달러 가운데 미지급액 4억5500만 달러를 2008년 7월 관광객 총격 사망 사건 이후 매달 지급받지 못하고 있는 점을 들어 계약 무효를 주장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정철 숭실대 교수는 “남북 정상회담이 열릴 경우 금강산 관광이 재개될 수 있겠지만 그 이전까지는 다른 업체를 통해 관광 사업을 이어나가 현대아산과 정부를 강하게 압박하려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최정욱 안의근 기자 pr4p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