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S·전국 CCTV 연동 자동 경보… 행안부 ‘U-공공서비스’ 착수

입력 2010-03-23 18:47

자녀의 등하교 경로를 부모가 확인할 수 있고 비상상황 발생시에는 119에 자동 신고되는 유비쿼터스 공공서비스가 도입된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104억원을 투입해 첨단 정보통신(IT) 신기술을 공공서비스에 활용하는 ‘유비쿼터스 기반 공공서비스 시범사업’에 착수한다고 23일 밝혔다. 행안부는 다음달까지 3∼4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사업을 발주, 올해 안에 서비스 체계를 완료할 방침이다.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마련된 이번 사업은 어린이 안전과 장애인 전용주차구역 모니터링(일반 차량이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하면 경보가 울리는 시스템), 해상수입화물 관리체계(마약류 밀수품 선적이 의심되는 컨테이너 실시간 위치추적), 통합기상관측환경 구축(제주도 북서부에 자동 기상관측센터 설립) 등 4개 서비스로 진행된다.

어린이 안전 서비스는 인공위성 위치추적기술(GPS)과 전국 각지의 CCTV를 연동해 해당 어린이가 등하교시 일상적인 경로를 이탈할 경우 부모의 휴대전화로 문자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설계된다. 비상상황시 어린이가 휴대전화의 SOS 버튼만 누르면 부모와 119에 자동 통보되고 인근 CCTV에 현장이 촬영된다.

행안부는 장기적으로 민간 투자를 유도해 서비스 대상을 부녀자와 치매노인까지 확대하고 서비스 장소도 놀이터 및 지하주차장까지 넓힐 계획이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