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후보군 적고 이슈는 밀리고 계파갈등 여전… 靑, 잇단 악재에 “지방선거 걱정”

입력 2010-03-21 18:16

청와대가 두 달여 앞으로 다가온 6·2 지방선거를 걱정스러운 눈으로 바라보고 있다. 올 초만 해도 청와대의 지방선거 전망은 밝은 편이었다. 50%를 넘나드는 이명박 대통령의 지지율과 ‘허약한 야권’이라는 두 가지 조건이 근거였다. 그러나 맑음 기류가 최근 흐림으로 바뀌었다.

우선 악재들이 잇달아 터지고 있다. 한명숙 전 총리 재판은 지방선거를 좌우할 변수로 떠올랐다. 일부 여권 핵심들이 김준규 검찰총장을 비롯한 검찰에 불만을 토로했다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검찰이 한 전 총리에 대한 무리한 수사로 ‘헛발질’을 한 게 아니냐는 걱정이 깔려 있다.

무상급식 이슈도 선점당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21일 “내용과 상관없이 민주당의 프레임에 걸려버린 꼴”이라고 했다.

종교계의 4대강 반대 성명도 악재다. 급기야 이 대통령이 지난 16일 4대강 사업과 관련, “(반대 목소리에 대해) 구체적인 수치와 논리를 가지고 최선을 다해 설명하고 설득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여기에 방송문화진흥회 김우룡 전 이사장의 발언으로 촉발된 MBC 사태는 논란이 확산되는 양상이다.

지방선거의 핵심인 수도권 광역단체장 후보군의 문제도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국민들이 원한 것은 청계천이나 버스노선 개편 같은 확실한 업적이었는데, 현 한나라당 소속 단체장들이 그런 업적을 국민들에게 보여주지는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이들을 대체할 거물급 외부인사도 찾기 어렵다. 내부 경선도 아직까지는 바람을 일으키지 못하고 있다.

여권 내부의 복잡한 구도도 지방선거 전망을 어렵게 한다. 세종시 문제로 한나라당 내 친이·친박계의 갈등의 골이 깊어질 대로 깊어진 상태다. 박근혜 전 대표가 수도권과 충청권 유세를 통해 확실한 힘을 실어준다면 상황이 바뀔 수 있으나 전망이 불투명하다. 기초단체장을 비롯한 영남권 공천 경쟁이 시작되면 두 계파 간 대립이 더 깊어질 가능성마저 있다.

최근 들어 지난해 10·28 재보궐선거 결과를 언급하는 청와대 관계자들이 부쩍 늘었다. 당시 한나라당 후보들은 여론조사에서 15% 포인트 이상 앞서 있었다. 그러나 결과는 경기도 안산 상록을, 수원 장안, 충북 증평·진천·괴산·음성 등 수도권과 충북 등 3곳 모두 민주당에 패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오세훈 서울시장, 김문수 경기지사, 안상수 인천시장 등 현직 단체장이 야당 후보들을 앞서 있지만, 실제 결과는 알 수 없다는 전망이 많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번 지방선거는 여당을 밀어줘서 국정을 안정시키느냐, 아니면 야당을 찍어 국정 견제세력을 만드느냐는 구도의 싸움”이라며 “지금처럼 가다가는 견제론이 우세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