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여성인권지수’ 전국 평균 밑돌아
입력 2010-03-21 19:31
경남도가 여성인권지수를 끌어올리기 위해 ‘여성공무원 할당제 추진’ ‘국공립 및 직장보육시설 확대’ 등 각종 정책을 시행키로 했다. 이는 경남의 여성 인권지수가 전국평균 보다 낮아 남녀 성 평등이 상당부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난데 따른 것이다.
경남도는 경남발전연구원에 용역 의뢰해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여성인권지수를 마련, 21일 발표했다. 여성인권지수는 남녀 성 평등이 완전히 이뤄졌을 때를 100으로 정한다. 100에 가까울수록 여성인권이 향상된 것이다.
용역결과에 따르면 경남의 여성인권지수는 전국 지수(40.6)보다 0.9 낮은 39.7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지표를 토대로 예비지표를 선정한 뒤 전문가 자문회의 및 설문조사 등을 거쳐 여성 대 남성 성비, 2009년 기준 증감률 등을 반영해 산정됐다. ‘정책결정 동등 참여’ ‘경제활동 활성화’ ‘소수 여성 인권보장’ ‘폭력·성착취 근절’ ‘여성 편익시설 확대’ 등 5개 영역으로 분류한 뒤 영역별로 다시 25개 대표지표를 선정해 계량화한 것이다.
영역별로는 경제활동 활성화(55.5), 여성편익시설 확대(51.2), 폭력과 성착취 근절(40.4) 영역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별로는 경제활동 증가율 성비(69.0), 여성화장실 비율(67.7) 순으로 지수가 높았으며 5급 이상 여성공무원 성비(4.6), 지방자치단체장 성비(0) 순으로 지수가 낮았다.
이에 따라 도는 10년 내에 여성 인권지수를 10% 끌어올리기 위한 ‘Ten in Ten(텐 인 텐)’ 정책을 추진한다. 이 정책은 여성 인권지수를 측정해 10년 안에 여성 인권지수 10% 향상시키는 것으로 여성 인권정책을 효과적이고 장기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여성공무원 할당제 추진’ ‘국공립 및 직장보육시설 확대’ ‘소수 여성 인권보장 지원조례 제정’ ‘여성장애인 전문병원 지정’ ‘여성폭력 피해자쉼터 운영’ ‘여성 전용택시(핑크택시) 운영’ 등 31개 정책과제가 추진된다.
도 관계자는 “이같은 정책을 추진하면 앞으로 10년 이내에 여성 인권지수가 대폭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