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룡 전격 사퇴 파문] 곤혹스런 청와대…김 이사장 ‘큰집’ 발언 불길 차단 부심

입력 2010-03-19 21:24

청와대가 곤혹스러운 상황에 빠졌다.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 김우룡 이사장이 19일 이른바 ‘MBC 사장 큰집서 조인트’ 발언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했으나, 논란이 가라앉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불길이 점차 청와대로 번지는 양상이다.

이번 사태에 대한 청와대 입장은 김 이사장의 발언 실수이며, 인사 개입은 없었다는 것이다. ‘큰집’은 청와대가 아니기 때문에, 청와대가 공식적으로 해명할 일도 아니라는 설명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사실이 아닌데, 사태가 더 확산될 게 뭐가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이 관계자는 야당의 국정조사 요구에 대해 “무조건 국정조사만 요구하는 방식은 곤란하다”고 일축했다. 다른 고위관계자는 “방문진 이사장 및 이사의 임명은 방송통신위원회에 있으며, 청와대가 개입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며 “다만 MBC가 공영방송으로서 제대로 된 권위와 역할을 찾아가기 바란다”고 말했다. 박선규 대변인도 전날 “김 이사장이 왜 그렇게 말했는지 저희들도 알지 못한다”며 “김 이사장도 ‘큰집’은 청와대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고 해명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대통령은 방송을 포함해 모든 언론이 무조건 대통령 편을 들어주기를 원치 않는다. 언론은 있는 사실을 그대로 공정하게 보도해 주면 좋겠다는 것이 언론에 대한 대통령의 확고한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런 청와대 측 설명이 곧이곧대로 먹힐지는 미지수다. 청와대가 김재철 MBC 사장에게 인사압력을 행사했다는 증거는 없지만, 세간의 인식이 문제다. 청와대와 MBC는 현 정권 출범 이후 사이가 좋지 않았다. 특히 출범 첫해인 2008년 MBC PD수첩의 광우병 보도는 결정적이었다. 이동관 대변인(현 홍보수석)은 지난해 6월 19일 검찰의 MBC PD수첩 수사결과가 발표된 직후 “외국의 일이라면 경영진이 책임을 지고 총사퇴해야 할 일”이라며 MBC 경영진에 대한 사퇴까지 거론했다. 엄기영 사장은 지난 2월 8일 자진 사퇴했다.

MBC 사장 임명은 방문진에서 이뤄지고, 청와대가 직접 인사권을 행사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야당과 언론단체, MBC 내부의 인식은 ‘청와대→방통위→방문진’으로 이어지는 인사라인이 있다는 의혹을 거두지 않고 있다. 2008년 8월에는 KBS 후임 사장을 논의하기 위한 이른바 ‘KBS 대책회의’ 논란도 불거졌다. 당시 이 자리에는 청와대와 방통위 고위 관계자들이 KBS 측 인사와 같이 있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