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터넷 중독, 사회적 질병으로 접근해야
입력 2010-03-16 17:54
디지털 환경이 보편화되면서 인터넷 중독자가 200만 명에 이르며,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한 해 7조8000억∼10조1000억원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현재 8.8% 수준인 인터넷 중독률을 2012년까지 5% 이하로 떨어뜨리기 위해 7개 부처가 종합계획을 마련했다. 유치원생·초등학생·청소년·성인 등 4개 그룹으로 나눠 연령대에 맞춘 눈높이 교육을 하거나, 30만 명의 중독자를 수준에 따라 초기·중기·고도위험으로 나눠 맞춤형 상담을 실시한다는 것이다.
그동안 인터넷 중독에 대한 우리 사회의 대응은 안이했던 게 사실이다. 청소년 그룹의 트렌드 혹은 인터넷 활성화의 부작용 정도로 여기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연구 결과 인터넷 중독은 정신병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ADHD(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와 우울증의 원인이면서, 경우에 따라 사회공포증까지 유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치료가 필요한 치명적 사회 병리였던 것이다.
중독의 연령이 높아지는 것도 문제다. 대상이 청소년에서 20∼40대 성인으로 옮겨가는 것이다. 최근 PC방에서 밤새 게임을 하다가 갓 태어난 아기를 굶겨 죽인 부부는 인터넷 게임 중독자였다. 이들은 실제 자식보다 가상현실에서 키우는 캐릭터에 더 많은 정성을 쏟은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었다. 부산 여중생 피살 사건의 피의자 김길태를 옹호하는 카페가 생겨나는 것도 이런 현상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인터넷 중독 해소를 정부에만 기댈 수는 없다. 특정 계층의 일탈이 아닌 시대적 전염병의 성격이 있기 때문에 학교와 가정, 직장 등 사회구성원 전체의 관심과 노력이 요구되는 것이다. 인터넷 중독 증세가 보이면 정신질환을 인정하고 적극적인 치료에 임하는 것이 급선무다. 중독이라는 질병의 특성 상 한 곳에서 집중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숙치료소 설립도 검토할 만하다. PC방에 대한 신규 진입을 억제하는 대신 야외 활동을 권장하는 분위기 조성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