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면 상승률 연평균 4.02㎜ 2100년엔 1m상승… 해안 모래사장 80% 사라진다
입력 2010-03-14 19:17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앞으로 약 90년 후에 우리나라 바닷가 모래사장 대부분이 사라질 지도 모른다는 경고가 나왔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조광우 연구위원은 최근 펴낸 보고서 ‘해수면 상승에 따른 취약성 분석 및 효과적 대응정책 수립’을 통해 우리나라 해안이 해수면 상승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조 박사 연구팀은 2100년까지 해수면이 1m 상승한다고 가정할 때 전국 111개(동해안 44개, 남해안 32개, 서해안 35개) 사빈해안 후퇴율을 산정한 결과 평균 80.1%를 나타냈다고 말했다. 사빈해안은 부산 해운대, 충남 태안반도의 만리포 등과 같이 해수욕장으로 이용되는 곳이 많다.
남해안과 서해안이 각각 87.3%, 86.4%로 해안선 침식 폭이 컸고 동해안은 69.9%로 상대적으로 후퇴율이 낮았다. 그러나 해수면 상승폭이 커질수록 전 해안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또 1993∼2008년 동안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률이 연평균 4.02㎜로 지구 평균치인 3.16㎜보다 1.3배가량 높게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특히 최대풍속과 하루 강수량 최고치 및 해역의 파고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연안 피해의 증가추세가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조 연구위원은 “모래사장이 사라지면 해안의 방파제 기능도 상실돼 배후에 있는 주거시설, 산업단지, 도로 등 기반시설이 파도와 해일의 위험에 직접 노출된다”고 강조했다. 모래사장은 파도나 해일의 에너지를 흡수해 파괴력을 약화시키는 방파제 역할을 한다.
한편 명수정 KEI 책임연구원은 기후변화 관련 재앙의 발생가능성에 대한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해수면 상승은 척도 5점에 3.92점으로 평균기온 상승(4.16), 홍수 및 집중호우(4.14), 태풍 및 폭풍(4.01)에 이어 4번째로 높게 평가됐다고 밝혔다. 명 박사는 해수면 상승에 취약한 사회기반시설로 항만, 해수욕장, 하천시설, 발전시설, 주거시설 등이 꼽혔다고 말했다.
임항 환경전문기자 hngl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