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지방선거 공천 못지않은 ‘장외 경쟁’… “2만대 수요 유세차량 선점하라”

입력 2010-03-11 18:58


6·2 지방선거에서 전북도교육감 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A예비후보는 지난달 한 업체와 10여대의 유세 차량 임대 계약을 했다. A후보 측은 선거기간 14개 시·군에 이들 차량을 배치해 길거리 홍보를 할 예정이다. A후보 측 관계자는 “본격 선거전에 돌입하면 아무래도 차량 확보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돼 예비등록을 한 뒤 일찌감치 가계약을 했다”고 말했다. 도지사 선거에 나선 B후보 측도 유세차량 17대를 빌리기로 하고 계약을 마쳤다.



지방선거를 80여일 앞두고 선거차량을 확보하려는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선거법 강화로 차량을 이용한 영상물 상영 등의 홍보가 절실하지만, 예상 후보자 수에 비해 대형 발광다이오드(LED) 전광판을 설치한 차량이 크게 부족하기 때문이다.

전국 2297개 선거구에서 모두 3991명(잠정)을 뽑는 이번 지방선거는 역대 최대 규모.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경쟁률을 3.8대1로 예상, 최종 후보자가 1만5500명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관련 업계는 이번 선거에 2만대 이상의 유세차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박빙 승부가 예상되는 서울시장 선거의 경우 한 후보당 49대의 차량을 활용할 수 있어 5명만 나와도 200대 이상의 차량이 필요하다. 서울시교육감 선거에서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차량과 음향시설은 어느 정도 수요에 맞출 수 있으나 LED 전광판의 경우 공급이 크게 달리고 있다고 업체들은 밝혔다. 대형 LED 전광판은 개당 1000만원이 넘는데다 제작 기간도 달포쯤 걸려 “미처 차량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선거기간 자전거만 타고 돌아다니는 후보가 나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각 업체는 중국 등에 긴급 제작을 의뢰하는 등 선거 특수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C사의 경우 이미 100인치 크기 LED 300대를 주문했다고 밝혔다. 이 회사 최모 대표는 “선거가 다가오면서 차량 관련 문의가 계속 들어오고 있다”며 “각 당의 경선이 끝나고 본선 주자가 정해지면 영상차량을 확보하기 위한 한바탕 전쟁이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선거사무실 등에 거는 대형 현수막을 제작하는 과정에서도 후보들은 상당한 부담을 안을 것으로 보인다. 대형 걸개그림을 세 장쯤 내걸 경우 설치비까지 1500만원 안팎이 들어가나, 현금을 주지 않으면 아예 주문이 어려운 실정이다.

전북지역 기초단체장 선거 예비후보인 D씨는 “사무실 개소와 출판기념회 때 대금을 선불로 주고서야 현수막을 제작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