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금호타이어 노사, 상생 방안 마련하길
입력 2010-03-10 18:31
워크아웃이 진행 중인 금호타이어 노조가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가결시키는 등 파업 수순을 밟고 있다. 지난달 1일부터 계속된 협상에서 노사가 절충안을 마련하는 데 실패한 결과다. 노조가 양보안을 제시하긴 했지만 사측 협상안과는 거리가 멀었다.
쟁점은 인력 구조조정 문제다. 사측은 임금을 대폭 내리지 않을 경우 대규모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면서 1199명에 대한 정리해고 방침을 통보했다. 이에 노조는 협상 결렬을 선언하고 전남지방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을 신청, 오는 16일 이후 언제든지 파업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놓았다.
노조는 금호그룹 경영진의 부실 경영 책임을 노동자들에게 전가하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금호그룹의 무리한 기업 인수합병이 금호타이어 상황을 어렵게 만든 한 요인이라는 점에서 노조 주장에 일리가 없지 않다. 하지만 노조는 현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파업에 들어가 1000억원의 긴급자금이 공급되지 않으면 회사가 회생 불능으로 치달을지 모르는 상황이다. 직장 폐쇄나 법정관리라는 최악의 국면을 맞을 수도 있다. ‘제2의 쌍용차’가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마저 나온다.
옆에서 일하던 동료가 타의에 의해 갑자기 퇴직해야 한다는 것은 가혹한 일이다. 그러나 회사가 워크아웃 판정을 받으면 뼈를 깎는 구조조정은 감내해야 한다. 금호타이어 노조의 경우 견딜 만한 수준이라는 견해가 있다. 이 회사 4000여명의 생산직 근로자 평균 임금이 경쟁사인 한국타이어보다 높은 5900여만원으로 알려진 점이 근거다. 인위적 구조조정을 막으려 노사 합의로 2005년부터 신규 채용을 중단해 일자리를 원하는 지역민들로부터 원성을 받고 있다는 것도 노조는 고려해야 한다.
노사 간 이견이 크지만 협상의 여지가 없는 건 아니다. 임금 삭감과 구조조정 폭을 주고받을 수 있을 것이다. 사측은 내달 초를 정리해고 시한으로 제시했다. 그때까지 노사가 머리를 맞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기를 바란다. 금호타이어의 280여개 협력업체는 물론 지역경제에까지 심각한 영향을 줘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