룸살롱 질의 WSJ 기자 대변인에 욕설도… 재정부, 공보서비스 중단
입력 2010-03-09 18:43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의 외신기자간담회에서 부적절한 질문을 한데 이어 대변인에게 욕설까지 한 월스트리트저널(WSJ) 기자에 대해 재정부가 공보서비스를 중단하는 등 강력 대처키로 했다.
재정부는 WSJ 본사에 공식 항의서한을 보내는 한편 담당기자 교체를 요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김영민 재정부 외신 대변인은 9일 “재정부 장관이 어제 외신기자간담회에서 WSJ 기자로부터 비상식적인 질문으로 곤란함을 겪었지만 외신 간담회는 지속한다는 게 기본 방침”이라며 “그러나 예의에 벗어나고 적절하지 않은 행동을 하는 외신에 대해서까지 공보 서비스를 해줄 수는 없다”고 밝혔다.
에반 람스타드 WSJ 기자는 당시 외신기자간담회에서 한국 여성의 직장 참여가 저조한 것이 남성의 룸살롱 문화 때문이며, 재정부 직원들이 관계기관으로부터 룸살롱 접대를 받는다는 전제를 깔고 윤 장관에게 황당한 질문을 던졌다. 이에 재정부 외신 대변인이 간담회가 끝난 뒤 “장관에게 하기에는 부적절한 질문이었다”고 지적하자 람스타드 기자는 대변인에게 육두문자를 써가며 욕설을 퍼부었다. 람스타드 기자는 지난해 8월에도 욕설을 했다가 재정부 외신 대변인에게 사과 편지를 썼던 전력이 있고, 사실과 다른 내용을 보도해 정부가 본사에 정정보도를 요구한 사례도 있었다.
재정부는 이번 간담회에서 또다시 정부 대변인에게 입에 담지 못할 욕설을 퍼부어 국격을 심각히 훼손했다고 판단, 강력한 후속조치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에 따라 재정부는 람스타드 기자의 욕설과 장관에 대한 부적절한 행동과 관련, 항의 서한을 외신기자클럽과 WSJ 본사에 보내고 람스타드 기자에게는 보도자료 등 공보서비스 제공을 중단하기로 했다. 다만 WSJ 본사에는 종전과 같이 한국경제 정책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분리대응 방침을 세웠다. 람스타드 기자는 9일 재정부에 간략한 사과 메일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