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원전 국제표준 추진 속내는… 새 강자 韓·中 견제 포석

입력 2010-03-09 17:59

유럽연합(EU)이 원자력 발전소 건설에 법적 구속력을 갖춘 국제표준 만들기에 나섰다.

인터내셔널헤럴드트리뷴(IHT)은 8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주제 마누엘 바로수 EU 집행위원장의 연설문을 사전에 입수해 이같이 보도했다. IHT는 이 같은 EU의 시도가 한국 중국 등 원전 시장의 새로운 세력을 견제하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바로수 위원장의 연설문에는 “EU가 핵 안전을 위해 구속력 있는 국제표준을 만드는 첫 번째 지역 활동가가 될 것”이라며 “다른 국가들도 우리와 함께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는 유럽의 원전 관련 규정을 전 세계가 함께 따라야 한다는 뜻이다. 만약 EU 회원국이 그의 제안에 동의할 경우 다음달 중순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핵 정상회의에서 공식 제안할 것으로 예상된다. EU는 지난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핵 안전기준에 동의하고 이를 법제화했다. IHT는 EU의 이런 노력이 겉으론 유럽의 규정에 강제성을 부여해 이를 전 세계에 확산시키려는 시도로 보이지만 실상은 한국 중국 등을 견제하고 안전기준이 강한 프랑스 등을 보호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지난해 말 프랑스 아레바 컨소시엄은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수주전에서 낮은 가격을 제시한 한국에 패배한 바 있다.

원자로는 2030년까지 400여개가 건설될 것으로 보여 원전건설 시장은 잠재적 거대 시장이 될 것으로 IHT는 전망했다. 중국은 2020년까지 건설되는 원전의 75% 가량을 수주할 것으로 예측됐고, 한국도 전통 강호에 대항할 복병으로 꼽히고 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