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시민공천’ 광주도 무산 위기
입력 2010-03-08 18:38
민주당이 시민공천배심원제 실시 여부를 놓고 몸살을 앓고 있다. 시민공천배심원제는 기득권을 배제하고 신인들이 정치에 입문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공천심사위는 이 제도를 실시할 곳으로 광주를 택했다. 민주당의 아성인데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대선 후보 경선에 승리한 경험을 가진 곳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내 반발이 만만치 않다. 광주 동구가 지역구인 박주선 최고위원 등은 8일 새벽까지 이어진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강하게 반발했다. 중앙에서 무작위로 선정한 시민배심원이 잘 알지도 못하는 지역의 후보를 뽑는 것은 ‘미인 대회’를 여는 것과 다름없다는 논리다.
논란의 이면에는 당권파 대 비당권파의 갈등이 깔려있다. 지방선거 공천은 7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전초전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시민공천배심원제는 정세균 대표를 중심으로 당권파인 386그룹이 진두지휘하고 있다. 공심위 역시 당권파가 대부분이다. 박주선 최고위원이 정 대표에 대항하는 행보를 하는 것은 다음 당 대표를 노리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정동영 의원이 복당 직후 국민경선제 도입을 주장한 것도 당권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수도권 광역단체장에 도전하는 이종걸 의원과 이계안 전 의원 등이 국민경선 100% 도입을 요구하는 것도 경선 구도를 주류와 비주류로 나눠 전개하려는 것이라고 핵심 당직자가 전했다.
한편 민주당은 민주노동당, 창조한국당, 진보신당, 국민참여당과 1차 정책합의문을 발표했지만 광역단체장과 기초단체장 등의 공천 배분 비율을 놓고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