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이-친박, 계파 안배 설전… 해묵은 감정싸움 재연?

입력 2010-03-08 18:42

여야 ‘공천 내홍’ 확산일로

2008년 18대 총선 공천파동 이후 잠복해 있던 한나라당의 친이명박계와 친박근혜간의 해묵은 갈등이 2년여 흐른 2010년 ‘6·2 지방선거’ 공천심사위원회 구성 문제를 놓고 재연되고 있다. 반면 민주당은 개혁공천을 명분으로 도입한 시민공천배심원제에 호남권이 강력하게 반발하면서 내부 진통을 겪고 있다.

8일 한나라당 최고위원회의에서는 6·2 지방선거 공천심사위원회 구성을 둘러싼 설전이 또 다시 벌어졌다.

친박근혜계 허태열 최고위원은 구상찬 의원 대신 이성헌 의원이 공심위에 참여해야 한다고 재차 요구했다. 같은 친박계이지만 구 의원보다 계파조직을 잘 아는 이 의원을 통해 친박계의 요구를 관철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정병국 사무총장은 “공심위 명단 구성 당시 계파와 상관없이 지역과 선수, 성별 등을 고민해 만들었다”며 난색을 표했다. 친이계 박순자 최고위원이 “공심위는 투명하고 공정하며 합리적인 인사로 구성돼야 한다”며 “계파 챙기기 공심위는 국민이 바라는 바가 아니다”고 거들었다. 결국 회의는 또 다시 결론을 내리지 못한 채 끝났다.

허 최고위원은 회의를 마친 뒤 “누구는 되고, 누구는 안 된다니 사실상 친박 인사에 대한 인사 검열 아니냐”며 강한 불쾌감을 드러냈다.

또 다른 친박계 핵심의원은 “공천의 공정성을 기하겠다면서 공심위원 15명 중 친박계 3명, 중립계 3명만 포함시켰다”며 “이렇듯 비주류와 중립인사들에게 기회를 부여하지 않는 것은 공천도 자기들 뜻대로 하겠다는 것 아니냐”며 공심위안의 수정을 요구했다.

친박계 의원들 사이에서는 18대 총선 당시 영남대학살의 경험을 떠올리며 지방선거 공천 과정에서 자파 후보들이 불이익을 당하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대구시장, 경북지사 등 일부 지역에서는 친박계와 친이계 후보간 경쟁이 예정돼 있어 양측의 입장차를 좁히기가 더욱 쉽지 않다는 관측이다. 10일 최고위원회의에서도 공심위 구성이 마무리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