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 ‘집안싸움’… 여야 폭발 조짐

입력 2010-03-08 18:24

한나라, 친이-친박 이견 공심위 구성못해

민주당, 시민공천 적용 지역 놓고 파열음


여야가 6·2 지방선거 공천을 둘러싸고 내홍에 빠져들고 있다. 한나라당은 공천심사위원회 구성을 놓고, 민주당은 시민공천배심원제 적용 대상 지역을 놓고 각각 친이·친박계 간, 주류·비주류 간 힘겨루기가 가열되는 양상이다. 세종시 갈등에 이어 공천 갈등까지 겹치는 바람에 정치권의 혼란이 가중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한나라당은 8일 정몽준 대표 주재로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중앙당 공심위를 구성할 예정이었으나 친이·친박계의 이견으로 결론을 내리지 못한 채 10일 다시 논의키로 했다.

회의에는 공심위원장을 맡을 정병국 사무총장을 포함한 친이계 6명, 친박계 3명, 중립 3명, 외부 인사 3명 등이 참여하는 공심위 구성안이 올라왔으나 친박계의 강한 반발에 부닥쳤다.

친박계 허태열 의원은 구상찬 의원 대신 이성헌 의원의 공심위 참여를 요구한 반면 정 사무총장은 “계파의 요구를 모두 받아주기 시작하면 공심위를 구성할 수 없다”고 설전을 벌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친박계 일각에서는 이 의원이 공심위에 참여하지 못할 경우 공심위를 보이콧하자는 목소리도 있어 계파 갈등이 가중될 조짐도 보인다.

민주당은 광주시장 후보 선출에 시민공천배심원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당 공심위 입장에 박주선 최고위원을 비롯한 일부 인사들이 제동을 걸면서 진통을 겪고 있다. 민주당은 7일 밤 최고위원회의에서 시민공천배심원제와 당원 전수조사를 50%씩 반영해 광주시장 후보를 뽑는 방안을 논의했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민주당은 이에 따라 당초 시민공천배심원제 핵심 지역으로 거론됐던 광주와 전남 여수, 전북 정읍을 제외한 채 1차 9곳을 대상 지역으로 확정해 발표했다.

민주당 주류 측은 이번주 중 시민공천배심원제 적용 지역 선정을 마무리짓고 경선에 들어갈 방침이다. 그러나 박 최고위원 등 비주류 측은 “변칙적인 제도를 도입하느니 차라리 지도부가 원하는 인사를 전략공천하라”고 반발하고 있다. 수도권에서는 광역단체장 후보 공천 방식을 놓고 이종걸 의원과 이계안 유필우 전 의원 등 비주류 측 예비 후보들이 국민경선 도입을 요구하며 반발하고 있다.

노석철 기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