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연대처럼…” 대박 꿈꾸는 정당 우후죽순

입력 2010-03-07 18:37

2008년 ‘4·9총선’을 불과 20일가량 앞두고 친박연대(현 미래희망연대)가 창당됐다. 한국 정당사상 처음으로 특정 정치인의 성을 따 당명을 정한 급조 정당임에도 불구하고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영향력에 힘입어 무려 14명의 당선자를 내는 ‘대박’을 터뜨렸다. 이번에도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대박을 겨냥한 신당 창당 움직임이 잇따르고 있다.

7일 중앙선관위원회에 따르면 현재 선관위에 공식 등록된 정당은 한나라당을 비롯해 민주당 자유선진당 미래희망연대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창조한국당 등 원내 진출 7개 정당을 포함해 모두 18개에 이른다.

올 들어 국민참여당이 창당된 것을 시작으로 지난 1월 말까지 선관위에 창당준비위원회(창준위) 결성 신고를 낸 정당은 평화민주당 국정당 통일인연대 국민당 등 8곳에 이른다. 여기에 (가칭)국민중심연합이 지난달 25일 창준위 신고를 마치는 등 6월 지방선거 이전까지 창당 작업이 줄을 이을 전망이다. 창준위 결성 단체는 선관위 신고 이후 6개월 내 5개 이상 시·도당을 결성하고, 각 시·도당은 1000명 이상 당원을 확보해야 정식 중앙당으로 등록된다.

이처럼 생소한 단체들이 창당 작업에 나서는 데 대해 선관위 관계자는 “당선자를 내기보다는 지방선거라는 큰 정치적 이벤트를 통해 자신들의 주장과 이념을 알리는 데 중점을 두는 경우가 많다”고 분석했다. 지난 총선 이후 창준위 신고를 마친 단체까지 포함, 모두 30여개 정당 및 단체가 선거를 앞두고 반짝 활동을 하다 사라지거나 ‘휴면정당’이 된 것도 대부분 이 같은 이유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달리 지난 총선 때의 친박연대 행보를 답습하고 나선 경우도 있다. 즉 한나라당 공천 파동 과정에서 친박연대가 탄생했듯 여야 주요 정당의 공천 탈락자들을 중심으로 당을 꾸려 지방선거에서 바람을 일으키겠다는 것이다.

민주당 내 동교동계 핵심 인사인 한화갑 전 민주당 대표가 추진하고 있는 평화민주당과 자유선진당을 탈당했던 심대평 전 대표가 중심이 된 국민중심연합이 대표적인 예다. 한 전 대표와 심 전 대표는 신당 창당시 각각 민주당과 자유선진당의 공천 탈락자들을 중심으로 당세를 확장해간다는 복안이다. 정치권에서는 두 사람이 호남과 충청권을 기반으로 하는 신당을 만든 뒤 과거 DJP(김대중-김종필) 연합과 같은 형태의 선거연대를 통해 지방선거에 나설 가능성도 거론하고 있다.

민주당으로선 ‘노무현 정신 계승을 기치로 내세운 친노 신당파의 국민참여당 창당에 이어 또 한번 분화를 겪게 되는 셈이어서 호남 신당 창당 움직임을 악재로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민주당 일각에선 “한 전 대표가 지방선거와 전당대회를 앞두고 지분 확보를 위해 지도부 압박을 하고 있는 것 아니겠느냐”고 해석하고 있다. 한 전 대표가 친노·386 중심의 당 운영에 대한 불만이 크지만 창당시 야권 분열에 따른 역풍도 무시하지 못할 것이란 설명이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